최근 장세는 대형주의 강세, 스몰캡의 철저한 소외로 정리할 수 있을 정도로 주가지수 대비 소형주의 약세는 올해 2025년 장세에 큰 특징으로 귀결되어 가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2025년 6.3 대선 전후 시작된 대형주 및 코스피 지수의 강세 속 스몰캡 상대적 약세 속 "역시 대형주 투자가 정답이다"라는 고정관념이 굳어져 가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이런 비슷한 시기가 필자가 증시 토크에서 이따금 다루었던 2000년대 초반에도 나타났었습니다. 2001년~2003년이 바로 그때입니다.
■ 2001~2003년, 닷컴버블 붕괴 후 패닉 매물의 지속적인 출회
2000년대 초반 장세는 2000년 IT버블 붕괴의 연장선으로 해석될 수 있는 시기였습니다. 1999년 코스닥지수 240% 넘게 한 해 동안 상승하면서 그 상승 폭이 종합주가지수 상승 폭인 82%에 3배에 이르렀습니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코스닥 시장 참으로 분위기 좋았고 덩달아 스몰캡의 전성시대가 펼쳐지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2000년 IT버블로 인하여 시장 전체적인 폭락을 경험한 이후, 2001년~2003년 사이 증시에 염증을 느낀 투자자들이 지속해서 이탈하였고 특히 개인투자자의 매수세가 집중되었던 코스닥과 소형주에서의 매도세는 매우 지속해서 이어졌습니다.
특히나 당시 투자 문화는 미수를 사용하여 하루이틀만에 승부를 보는 초단기 투자가 유행이었다 보니, 상승하려 하다가도 주가 흐름이 어설프면 이틀 만에 손절매로 인한 악성 매물에 주가가 폭락하는 일들이 자주 발생하곤 하였습니다. 여기에 2001년 911테러, 2003년 초 이라크전이 있으면서 주가 부담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그 결과 2001년 초부터 2003년 말까지 코스닥지수는 -14.7% 하락, 소형업종지수는 –25.5% 하락하였습니다.
그에 반하여 종합주가지수는 60% 넘게 상승하였는데, 그 시기 대형주들은 화려한 장세를 펼치기 시작합니다. 그 시기 삼성전자는 랠리의 대장에 있었고, 시가총액 중위권에 있던 조선, 철강, 해운주들이 중국 관련주라는 분위기 속에 화려한 랠리를 펼치기 시작합니다.
요즘 2025년 장세 분위기와 유사하게, 삼성전자의 경우 2001년 초부터 2003년 말까지 185% 상승하였고, 현대차는 317% 상승, 현대미포조선은 226% 상승, 현대상선 224% 상승, POSCO 113% 상승하는 등 대형주 전반의 화려한 상승세가 나타나고 이에 반하여 스몰캡은 철저히 소외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은 패닉 수준의 심리상태에 빠졌었습니다.
■ 차별화 장세 당시 : 견딜 수 없는 소외감에 시장을 떠난 투자자들을 목도하였고.
2001년 초부터 2003년 말까지, 만 3년 동안 대형주 중심의 장세가 오랜 기간 지속되다 보니 당시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는 부담을 넘어 패닉 수준에 이르렀었습니다. 당시 주요 소형주들이 두 자릿수의 하락률을 만들고 종합주가지수가 60% 넘게 상승하였던 것을 최근과 장세와 비교하여 보면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즉, 지금 느끼시는 차별화(혹은 소외감) 느낌에 2~3배를 더 가중하면 그 당시 투자심리를 짐작할 수 있지요.
그 당시 큰 투자 손실과 함께 시장을 떠난 이들은 많이 보았습니다. 그 당시는 지금보다도 더 묻지마 투자가 많았기에 개인투자자들의 손실률은 거의 깡통 수준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들이 주식시장을 하나둘 떠나가며 만든 매물은 2003년에 절정에 이릅니다.
그나마 2001~2002년까지는 스몰캡이라 하더라도 가치주들이 상대적으로 선전하거나 시장대비 앞선 성과를 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만, 2003년에는 다양한 기준의 가치투자 포트폴리오들에서 시장대비 크게 부진한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 2001년에서 2003년 당시 저평가 종목군들의 시장대비 수익률 추이.
[ 분석 : lovefund이성수 ]
2003년은 가치투자자들에게도 인내를 쥐어짜 낼 정도의 시기였습니다. 저평가되었다고 생각되어 매수했더니 끝없이 하락하거나 혹은 끝없는 횡보에 빠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지요. 종합주가지수는 2003년에 29% 넘게 상승하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올해 차별화 장세를 보다 보면 계속 2003년 시기가 떠오르는 이유가 그 당시처럼 가치투자자 중에서도 힘들어하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메아리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전략을 버리는 이들이 크게 늘고 있는 것도 그 당시와 너무도 비슷합니다.
■ 이제부터는 견디어 내는 이들의 영역
아마도 이런 차별화가 조금 더 진행되면, 가치투자자들은 비난과 비아냥의 대상이 되고 있을 것입니다. 아마 이미 그러할 것입니다.
과거 2001~2003년의 차별화 장세 후, 2004년 이후에 나타난 흐름은 인내의 필요성을 되새기게 합니다.
2001~2003년의 고비를 넘긴 후 2004년 중후반부터 다시 속도를 내기 시작한 가치주는 2005년 스몰캡 랠리 속에 화려한 시세 분출과 수익률을 기록하게 됩니다. 그리고 가치투자는 계속 시장대비 수익률을 높이며 앞으로 달려갔습니다.
다만 인내의 기간이 은근히 길게 느껴지는 시간이다 보니 참으로 어려운 시간이지요. 하지만, 이미 경험을 해보았기에 필자는 담담히 이 고비를 조금 더 이겨내고자 합니다.
2025년 9월 22일 월요일
lovefund이성수 [ 미르앤리투자자문 대표 / CIIA / 가치투자 처음공부 저자 ]
[ 증시토크 애독 감사드리며 글이 좋으셨다면, 좋아요/추천/공유 부탁합니다. ]
[ “lovefund이성수”에 대한 관심 감사합니다. ]
※ 본 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주식투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수치 및 내용의 정확성이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lovefund이성수를 사칭하는 사이트와 채널을 주의하여 주십시오.
절대로 본인은 대여계좌알선/유사수신/일임매매/대출알선/수익보장/해외선물 등을 하지 않습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