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백승호입니다.
오늘은 일전에 올린 '가장 좋은 재테크 방법은 무엇인지 아세요' 2탄입니다.
지난번 칼럼에서는 '소비'와 관련한 이야기를 다루었었는데요.
이번엔 좀 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우선 방법론적으로 선행되어야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재무목표수립"인데요.
현실적으로 모두가 크고 좋은 집을 구매할 수 없듯이, 재무목표 역시 아주 현실적이고 실현이 가능한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그래야만이 재테크가 현실 가능한 꿈이 될 수 있고 현실 가능해야만이 참고 기다릴 수 있기 때문이죠.
터무니 없는 목표는 목표가 없는 것과 다르지 않으니 반드시 합리적인 재무목표를 먼저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돈을 모으고자 하는 재무목표가 분명해지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 합리적인 소비를 통한 저축 금액도 확보가 되었다면 나의 돈을 잘 굴릴 수 잇는 '도구'가 필요하겠죠?
"여러분은 어떤 도구를 사용해서 돈을 굴리시나요?"
아직도 은행의 예금, 적금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지금 우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5%이고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 또한 1%대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 방법으로 은행에 대한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예적금이 최고의 재테크바법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겠지만 현실적으로 이제 적금이라는 것은 나의 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금고로서의 역할은 하겠지만 당신의 돈을 크게 불려주지는 못합니다.
그렇다고 열심히 적금 부어서 서울에 아파트를 살 수 있느냐? 그것도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좀 더 효율적인 도구를 찾아야합니다.
"예금, 적금이 필요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도구 중에 일부여야만 합니다."
그럼 효율적인 재테크를 위한 도구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수없이 많은 금융상품이 존재하지만 분명한 것은 어느 한가지 상품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비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각 금융사의 상품들을 적절한 발란스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은행의 재테킄 도구는 나의 돈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역할과 대출이라는 도구를 통해 어떠한 재무목표 달성기간을 앞당겨 주는 역할을 합니다.
#증권사의 도구는 적극적으로 자산증식을 하기 위한 공격적인 도구들이죠. 하지만 원금손실의 부담이 항시 존재하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보험사는 나의 재산, 신체, 장수 리스크를 방어해주는 역할을합니다. 그렇지만 일부 저축성을 제외하고는 보험이라는 것이 비용의 개념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설계와 보험료 측정이 반드시 필요하죠.
이렇듯 각 금융사 별로 그 역할과 쓰임새가 다양한데요.
저 역시도 제 고객의 돈을 관리해드림에 있어 각 금융사별로 역할에 맡는 도구를 적절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은행의 도구는 주로 청약과 대출.
증권사의 도구는 채권, 주식, 펀드, ETF 정도.
보험사의 도구는 보장성보험과 연금들.
좀 더 구체적으로 활용방법을 살펴보면요.
#은행의 도구는 주로 주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청약통장
사실 지금의 부동산 시장에서는 쓰임새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과거처럼 경쟁률이 너무 치열해서 청약통장을 통해 당첨여부를 결정할만한 상황이 아니니까요.
하지만 임대주택 위주로 여전히 청약통장의 쓰임새가 있기는 하기에 약간의 쓰임새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대출
대출없이 내집마련을 한다면 너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시간이 너무 올래걸리죠.
또한 최근처럼 금리가 낮고 부채의 비중이 너무 과하지 않다면 저렴한 금융비용으로 내집마련을 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대출은 결국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미래소득까지 고려한 부채의 규모 산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증권사 도구의 역할은 주로 자산증식입니다.
과거엔 주로 저축과 부동산이 그 역할을 했다면 지금의 저금리 기조와 낮은 성장률의 환경 속에선 금융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펀드 : 채권형펀드
우낙 금리가 낮다보니 저 개인적으로 적금 예금의 대체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국공채 투자하는 채권형펀드를 활용한다면 리스크도 거의 없고 시중예금 금리보다 높은 성과를 내면서도 굉장히 유동적으로 관리하기 쉬운 금융상품입니다.
최근엔 국내채권펀드의 성과도 예저만 못하기 때문에 해외채권의 비중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이기도하죠.
펀드 : 주식형펀드
굉장히 공격적으로 자산증식을 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금융위기 이후로 주식형펀드에 대한 인식이 매우 안좋아졌지만 여전히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크게 전략적으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투자상품이 바로 주식형펀드입니ㅏㄷ.
적립식으로 투자하면 리스크도 많이 줄일 수 잇지만 펀드의 선택, 투자기간설정과 자산배분이 투자성과를 좌우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ETF
개인적으로 ETF는 가장 좋아하는 투자 도구입니다.
관련 내용은 제 블로그에 포스팅해 놓은 것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bandl22.blog.me/120203305585
#보험사의 도구는 주로 우산과 같은 역할을 해주죠.
신체의 질병과 사고로 인한 의료비용 리스크를 헷지해주고, 주택 및 자동차 등 자산손실에 대한 리스크 역시 보험을 통해 헷지가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오래사는 장수가 위험이 되어버린 슬픈 환경 속에 노후준비에 대한 리스크 헷지도 보험사의 도구를 통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손보험과 진단비 특약들을 통해 최소한의 의료비와 큰 질병(암, 뇌, 심장관련)으로 인한 소득보존을 대비할 수 있구요.
정기보험과 종신보험을 통해 사망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연금 및 각종 저축성보험을 통해 노후자금준비와 절세전략으로 활용가능합니다.
재테크방법과 관려해서 이야기해드리고 싶은 내용은 더욱 많으니 글로 쓰는 것은 너무어렵네요^^ 오늘은 간단하게 재테크 방법 중 도구활용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자산관리사 백승호의 진실된 금융이야기 블로그 : http://blog.naver.com/bandl22
백승호 "저금리 시대 자산 증식을 위한 차별화된 재테크 전략을 제시하겠습니다." | |
상담 신청 bandl22@hanmail.net | |
기타활동사항 SBSCNBC '원스톱 재무설계' 전문 패널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