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까지는 가족이나 본인에게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만, 40대로 접어들면 부모,형제 혹은 배우자 그리고 본인에게 건강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긴급한 치료를 요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치료에 대한 걱정을 해야하지만 동시에 병원비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건강에 어떠한 비상상황이 닥칠지 모르기 때문에 필자는 이런 제안을 드리고 싶습니다.
"건강문제를 위한 비상금 500만원은 확보하시라"
ㅇ 한국, 건강보험제도가 잘 되어있긴 하지만 돈이 필요한것은 현실
40대에 접어들면 갑자기 뇌 또는 심혈관계 질환 혹은 심각한 병이 발생하기도 하고 예상치 못한 허무한 사고로 골절 등의 정형외과적 이유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하는 일들이 하나 둘 생길 수 있습니다.
그나마 한국의 건강보험제도는 다른 국가들이 부러워할 정도로 잘 되어있어서 급여항목들에 관한 치료는 건강보험 공단에서 대부분을 지원 해 줍니다.
심지어 건강보험료 납부 수준(소득수준)에 따라서 급여항목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서 일정 수준(300~500만원)을 넘어가면 1년에 한두차례 환급을 해주는 제도가 있어 뇌혈관계 질환에 대한 급성기 치료 및 기타 중요한 질병 혹은 암치료에 있어서는 많은 부분 병원비가 커버됩니다.
하지만 병원치료란 것이 기본적인 급여항목만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병원비가 많이 들어가는 비급여치료를 받아야하기도 하고, 급여대상이 아닌 간병비가 적지않게 들어갑니다.
그리고 막상 건강문제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환자 본인이 자금을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혼수 상태 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보니 가족들은 패닉상태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건강보험 공단에서 커버해주는 부분이 많다하더라도 당장에 병원비는 결제해야하니 말입니다.
그래서, 필자는 건강문제를 위한 비상금 500만원은 확보하시라고 이야기드리고 싶습니다.
ㅇ 500만원 비상금 : 100%안전자산, 입출금이 쉬운 상태로 배우자와 공유
500만원 작다면 작을 수도 많다면 많을 수도 있는 돈입니다. 그런데 이 정도 금액을 건강을 위한 비상금으로 확보하고 있으면 적어도 중요 단계 치료 비용으로 당장 충당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뇌졸중(뇌경색,뇌출혈)로 입원하는 경우, 바로 CT,MRI,경동맥초음파 등의 고가의 진단을 한 후에 최대한 빨리 치료가 진행됩니다. 그런데 뇌졸중은 발병 후 당일 혹은 2~3일까지는 중환자실에서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죽은 뇌가 부풀어 생명에 큰 위협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 때, 아무리 본인이 돈을 많이 가지고 있다한들 식구들이 이 돈을 사용할 수 없으면 가족들 입장에서는 난감하기 그지없습니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현금성 자산으로 비상금 500만원까지는 만들어 배우자 혹은 가장 가까운 가족과 공유하고 계셔야 합니다.
[응급상황을 위한 건강비상금 지금부터라도 준비하십시요. 사진참조 : pixabay]
실제 예를들어 이야기드려보겠습니다.
필자의 혈족 중에 뇌졸중으로 수년 전 급성기 치료를 받은 이가 있습니다. 당시, 서울시내 대형병원에 입원 후 10여일 정도 지난 후에 1차 병원비를 정산하였는데 당시 대략 25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또 일주일 정도 뒤에 병원비 30여만원, 그리고 퇴원할 즈음 추가 50여만원하여 병원비/진료비로만 총 330~350만원이 들더군요.
여기에 기저귀와 같은 소소한 물건을 사는 비용 수십만원에 간병비도 100여만원 들어간 것을 감안하면, 급성기 치료로만 단, 20여일만에 500만원가까이 들었습니다.
적어도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나면 정신이 들은 환자와 대화를 하면서 이후에 과정을 준비할 수가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하지만 길면 한달 짧으면 10여일 동안 500만원 정도의 자금이 없다면 심리적으로 매우 힘든 상황을 겪을 수 밖에 없습니다.
카드로 결제한다. 보험사에서 지급한다고 마음 놓으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카드로 결제한 것은 어째거나 갚아야하는 빚입니다. 그리고 보험사에 진료비를 청구해도 일정 시간이 걸리고 일단 병원비는 결제를 해야하기에 당장 현금 여유는 미리 비상금으로서 준비되어있어야 합니다. 결국 결제해야할 적시에 돈이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자금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현금성 자금으로 대기시키시고, 배우자 혹은 가장 가까운 믿을만한 친척과 미리 공유하고 있으셔야하겠습니다.
ㅇ 건강 비상금 마련 : 건강을 나쁘게하는 취미를 포기하시고 그 돈으로 비상금을 만들어 주시라.
필자가 이렇게 중간 제목을 뽑는 것은, 필자의 지인들에게 잔소리를 하기 위함이 있습니다.
(지난 주 글에서 lovefund재토크는 필자의 지인들의 이야기가 많이 녹아있다고 말씀드렸던 것처럼 말입니다.)
담배, 술... 특히 담배.
담배 한값에 4500원이더군요. 하루에 한갑만 피워도 한달이면 13만5천원입니다. 1년이면 162만원이라는 제법 큰 돈으로 불어납니다. 이 돈을 3년만 모아도 건강을 위한 비상금이 모입니다.
여기에 술...
특히 30,40대 소득이 어느정도 규모가 되시는 남자분들은 한번 정도는 엄한 곳에서 돈을 쓰고자하는 욕구가 강합니다. 소위 "좋은 곳" 접대차원에서 어쩔 수 없다는 핑계로 가는 그 술집 몇번만 안가도 수백만원은 그대로 고입니다.
건강을 위한 비상금으로 그렇게 허투루 녹을 돈 모으십시요.
500만원이 많다구요? 그럼 300만원만이라도 모으십시요.
당신이 응급상황이 되어 의식이 없을 때, 식구들이 적어도 병원비 걱정없이 치료할 수 있는 그 생명의 돈입니다.
(글을 마치며, 필자의 오늘 글은 지인 N모씨 3분께 바칩니다. 지인들이여 그대들도 중년이라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