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쉬운 금융이야기] 벤치마크(Benchmark)
추천 0 | 조회 580 | 번호 6215 | 2016.11.28 07:54 지니아이 (fnge***)


예를 들어 어떤 펀드가 작년에 5%의 수익률을 거뒀다고 하겠습니다. 이 펀드는 좋은 수익률을 거둔 펀드일까요?
이 5%라는 수익률 만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만약 ‘작년의 대한민국 펀드들의 평균 수익률이 3%였다’라는 기준이 제공되면 이 펀드는 굉장히 운용을 잘 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평균 수익률이 6%라면 이 펀드는 부진한 펀드에 해당이 될 것입니다. 벤치마크란 이처럼 비교대상이 되는 기준을 말합니다.

모든 수치에는 벤치마크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대학생들 성적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A대학의 학생이 받은 3.5의 학점과 B대학의 학생이 받은 3.5의 학점은 수치상으로는 별 반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A대학의 평균 학점은 3.2이고 B대학의 평균 학점은 3.8이라면 누가 더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인지가 바로 드러납니다. 여기에서 각 대학의 평균 학점이 이들의 우열을 가리는 벤치마크인 셈이지요. 골프의 경우는 홀 별로는 Par, 게임 기준으로는 Even이 벤치마크가 됩니다. 이걸 기준으로 타수가 얼마나 되냐에 따라 성적이 나뉘기 때문이지요.

이렇든 벤치마크는 자칫 무의미해 보일 수 있는 숫자를 분별하게 만듭니다. A대학과 B대학 학생의 예처럼 판단이 어려운 상황에서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펀드들은 벤치마크 이상의 수익을 거둬서 자신들의 펀드가 좋은 펀드라는 것을 증명하려 하는 것이지요. 금융시장에서 벤치마크는 이처럼 수익률이 좋았던 펀드와 나빴던 펀드를 쉽게 가려내는 지표가 됩니다.


 벤치마크란 주식시장에서는 펀드의 운용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대상으로 삼는 기준을 말한다. 비교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장상황, 펀드종류, 투자전략, 투자스타일 등을 고려하여 펀드의 운용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다.






※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48-0573호(2016.07.21~2017.07.20)
※ 당사는 금융상품의 특징, 수수료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고객님은 충분한 설명을 들으신 후 개개인의 투자성향과 상품의 투자위험등급을 필히 확인하고 자신이 책임과 판단 하에 투자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으며,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