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차근차근 배워보는 투자 : 보이지 않는 위협, 인플레이션
추천 1 | 조회 1695 | 번호 6177 | 2016.11.02 08:01 지니아이 (fnge***)




세금 및 인플레이션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 세금만큼 금리는 더 낮아집니다.

이자에는 세금이 붙습니다.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 즉 이자소득세 14% + 주민세(세금의 10%)가 붙어 총 15.4%를 떼게 됩니다.
이를 감안해 세후 금리를 계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세후 금리 = 2.1%×(1-15.4%)=1.78%

♠ 인플레이션은 왜 중요할까?

 지속적인 물가상승 = “인플레이션” = 금융에 미치는 중력  


물가가 오른다는 말은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이죠.

예전에는 만원으로 4인 가족의 한 끼 식사를 준비할 수 있었지만,
요즘에는 만원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이것은 현재 만원의 값어치가 예전보다 훨씬 못하다는 뜻입니다.
연봉이 매년 올라도 물가보다 적게 오르면 실제 연봉의 가치는 깎인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그 값어치를 끌어내린다는 점에서 중력과 같습니다.
이 중력보다 높은 수익을 올려야 부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ㅣ출처ㅣhttps://www.flickr.com/photos/tfurban/5499181509


  • 은행에서 제시하는 금리  : 2.10% (최근 12개월 은행예금금리 기준)
  • 세금을 감안한 세후 금리 : 1.78%
  • 물가를 감안한 실질금리  : -0.22% (소비자물가가 2% 상승한다는 조건)

“예금만으로 부자되기. 쉽지 않겠죠?”



투자는 불확실성을 다루는 일입니다. 그래서 배워야 하고, 실수를 줄여야 합니다.
[ 77가지 투자이야기 ]는 여러 투자 방법 중 주식투자의 기본 개념과 절차 등을 쉽고 간단히 소개하여,
투자를 막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하나씩 차근차근 배워볼 수 있는 이야기 입니다.




 싸고 좋은 종목을 내가 직접 고르는 방법은 없을까요? 

 저축에서 투자로! ISA 한 눈에 알아보기 


 

1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