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기준금리 1.25% 시대..초저금리시대 재테크 방법 - 1편[1]
추천 5 | 조회 4160 | 번호 5899 | 2016.06.12 13:22 이재철 (jlee7jl***)

안녕하세요. 재테크 서적 <당신의 재테크 최선입니까?>의 저자이자 모네타 수석컨설턴트, 재테크 리모델링 전문 컨설팅회사 버킷재테크연구소의 소장 이재철입니다.

1.25%... 대한민국이 점점 더 초저금리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9일 기준금리를 1.5%에서1.25% 0.25% 인하했습니다. 금리 동결을 점치던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은 전격적인 결정이었습니다.그만큼 우리나라 경기가 좋지 않다는 반증입니다. 금리가 한 단계 내려가면서 예금 금리는1% 안팎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농후해졌습니다. 예금·적금만믿던(또는 예금·적금밖에 모르던) 사람들, 포트폴리오에서 예금·적금의 비중이 높은 사람들은 더욱 난감해졌습니다. 초저금리의골이 더욱 깊어가는 시대에 과연 재테크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답을 두 차례에 거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필자의 사견이니 최종적인 판단과 결정은 독자들이 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출처 : 머니투데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단계 낮추자 증권사들도 아래 그림처럼 CMA, MMF,RP 등의 단기금융상품의 금리를 일제히 낮췄다. 은행도 곧 정기예금 금리를 1%대 초반으로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세전 1.10%짜리 예금에 가입한다고 하면 세후 수익률은 0.93%로 실질금리는0%대로 떨어진다. 한국은행의 올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망치는약 1.2%. 물가를 반영한 예금의 실질적인 수익률은 -0.27%. 마이너스 상품에 돈을 넣고 있는 셈이다.

[그림 출처 : 매일경제신문]

예금으로 노후생활을 이어가려는 사람들은 더욱 가슴이 먹먹해졌다. 연금리 1.1%짜리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1년 후 달랑 93만원을 손에 쥐게 된다. 매월 나눠서 쓴다고 하면 매월 수령액은77,500원에 불과하다.

이미 정기예금은 돈을 불리는 상품이 아닌 돈을 안전하게 예치해두는 상품의 성격이 강해졌다. 재테크가 돈()을 잘굴리는 기술(tech)을 발휘해서 자산을 늘려나가야 하는 개념이지만 예금은 재테크상품이라기 보다는 돼지저금통으로 생각될 만큼 메리트가 사라져버렸다. 물가만도 못한 예금에만 예치한다면 늘 제자리걸음일 것이다. 이 얼마나답답한 노릇인가.

이제 더 이상 연 15%대 금리를 주던 IMF 외환위기 이전 시절은 잊자. 시대가 바뀐 만큼 우리들의 재테크도바뀌어야 한다. 그렇다면 더욱 더 금리가 내려간 초저금리시대에는 어떻게 재테크를 하는 것이 좋을까.

가장 많이 권하는 방법이 바로 중위험 중수익 투자다. 원금 손실의우려는 적으면서(또는 손실이 난다 하더라도 -2 ~ -4% 정도) 4~8% 정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다. 필자가 이전 재테크 정보지에서 여러 차례반복했던 투자 방법이자 지난 3월 출간한 재테크 서적 <당신의재테크 최선입니까?>[더난출판사]의 핵심적인 재테크방향이었던 투자 방법이다.

먼저 채권 관련 상품에 계속 관심 가져보자. 이미 기준금리 인하를단행해 당분간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적어져 당분간 채권 투자 매력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예금보다는 수익률이 높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0.25% 내렸던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상장채권거래대금은 138조원에서 203조원으로 약 47%증가했다고 한다. 정기예금 수요의 일정 부분이 채권쪽으로 이동한 것이다.

더욱이 채권형펀드는 신용등급 AA~AAA의 국내 국공채에 투자하기때문에 안전하고, 30일 또는 90일 이후에는 언제든지 부분환매/환매해서 유동자금으로 써도 된다. 필자가 권하는 채권형펀드들은 최근5년 동안 연 평균 4~5% 정도의 수익을 꾸준히 냈고, 연 기준으로 한번도 손실 난 적이 없다. 예금과 적금에 돈을 넣고있다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인 채권형펀드로 하루 빨리 갈아타자. 사실 이런 상품을 몰라서 계속예금과 적금에 예치해두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국내 국공채에 60~70%, 국내 주식에 30% 정도를 투자하는 채권혼합형펀드와 평소에는 회사채에 투자하다가 회사 상황이 좋아지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여러 전환사채(CB)들에 투자할 수 있는 메자닌펀드 등도 채권상품으로권할만 하다.

금리가 낮아졌다고 해서 주식으로 자금을 옮기고 싶은데 그러자니 겁나는 사람은 롱숏펀드를 권한다. Long은 매수, short은 공매도를 의미한다. 쉽게 얘기해서 매수에도 투자할 수 있고, 매도에도 투자할 수 있어주가가 떨어져도 수익이 나거나 또는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안전장치가 있는 상품이다. 박스권장세가 길어지고 있어 최근 2년간 다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저금리시대에 각광받는 투자 중 하나가 바로 배당주 투자다. 지난해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배당수익률은 연 1.74%로 정기예금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1년 동안 주가 변동이 없었다 하더라도 세후로 보면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거둔 셈이다.(주식 투자는 비과세) 배당을 줄 정도의 회사들은 비교적 꾸준히 수익을내는 회사들이 많아 주가 변동성도 상대적으로 적은, 안정적인 편이다.배당성향이 높은 주식이나 배당주펀드, 배당주ETF 등을추천한다.

올 하반기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넷마블, 두산밥캣 등 굵직한 회사들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예정이기 때문에 공모주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공모주펀드는 안전한 채권에 70~80% 투자하다가 IPO 시 기관으로 참여해 공모 물량을 공모주펀드에 담는다. 연 기대수익률은약 4~8%.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도 투자해볼만 하다. 홍콩H지수가 최근 1년사이 많이 낮아졌기에 타이밍상 나쁘지는 않다. 홍콩H지수를기초자산으로 삼는 ELS에의 투자가 망설여진다면 코스피200, S&P500,EUROSTOXX50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ELS나 낙인이 없는 노낙인(NO Knock-In) 상품을 포트폴리오에 담아보자.

2편에서 계속

5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