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심각한 금융문맹률, 한국 재테크의 현실-lovefund(財talk)120회[1]
추천 15 | 조회 2877 | 번호 5381 | 2015.12.03 21:48 lovefund (lovefu***)

헤럴드 경제 뉴스 그리고 로이터 유춘식 부지국장의 개인 블로그 글에 흥미로운 주제로 기사와 칼럼이 올라왔습니다. 최근 S&P가 조사한 세계 성인의 금융 문맹률(반대로 금융독해능력)과 그 세계 순위가 발표되었는데, 이 자료에서 한국의 금융독해능력은 33%로서 실망스러운 수준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자존심 상하지만 한국 재테크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ㅇ 한국 재테크 문화가 만든 금융 문맹

 

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한국 역사 인물 중에 고려시대 "최영장군"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곤 합니다.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했던 장군, 전형적인 청백리였던 그의 삶에서 검소하고 돈에 욕심을 부리지 않는 삶을 미덕으로 삼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일반 가정에서 돈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에는 "황금보기를 돌같이 해야 한다"라고 자식들에게 가르치고, 어릴 때는 돈에 대해서 알 필요없다며 재테크에 대한 관심 자체를 불경스럽게 여겨온 문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각박한 생활로 인해 성인들의 삶은 "돈돈돈"으로 귀결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모순된 상황 속에 있어서일까요? 한국의 금융문맹률은 생각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고 이는 한국 재테크 문화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ㅇ 기본 금융 지식 보유율 33%...

 

신용평가사 S&P는 140개국 이상의 15만명을 대상으로 간단한 4가지 질문을 통하여 금융 기본 지식과 이해를 측정하였습니다. 그 4가지 질문의 핵심 골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ㄱ. 위험 분산에 관한 간단한 질문

ㄴ. 인플레이션

ㄷ. 이자율 계산

ㄹ. 복합문제

 

문제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복합개념 문제의 경우 100$를 10%이자율로 5년간 은행에 저축을 했다면(단, 돈을 인출하지 않고) 그 돈은 얼마가 될까요?

150$ 이상, 정확히 150$, 150$이하...  에서 선택하는 간단한 문제입니다.

 

이 4문제중 3문제 이상 맞춘 사람을 기본 금융지식이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고 조사 대상 중 몇%를 차지하는지 국가별로, 나이별로, 성별로 S&P에서는 조사하고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전 세계 평균 기본금융지식 보유자의 비율은 33%를 기록하였습니다.

너무도 쉬워보이는 이 문제, 어쩌면 후진국도 섞여있는 조사이기에 평균이 33%이고 한국은 이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 생각 할 수 있습니다.

 

 

 ㅇ 한국 144개국 중 77위...

 

한국의 전 세계 GDP순위는 11위, 1인당 GDP순위는 28위로 세계 상위권의 경제 규모와 국민 1인당 소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기본 금융지식 보유율은 그래도 세계 평균보다 높지 않을까 싶지만 실망스럽게도 세계 평균인 33%에 불과 했습니다.

 

 

[금융지식 보유율 순위 77위에 한국, 원자료 : S&P Global finlit Survey]

 

심하게 표현하자면 67%라는 금융문맹률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 결과 세계 순위는 77위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바로 윗 순위인 76위를 보니 금융지식 보유율 34%로 우간다가 있었습니다.

우간다 요즘 금융시장을 이야기할 때 종종 등장하는 국가이지요. 얼마전 세계 경제 포럼(WEF)에서 발표한 금융시장 성숙도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87위를 기록하였고, 이보다 앞선 국가 중 81위에 우간다가 있었습니다.

 

경제 외형만 세계 상위권이었지, 정작 금융체질은 중하위권에 못난 국가였던 것입니다.

 

 

 

 

 ㅇ 한국! 경제 외형에 비하여 너무도 낮은 금융 지식 수준

  

[1인당 GDP 순위별 금융지식 보유율, 원자료 : S&P Global finlit Survey]

 

재미있는 결과는 우리가 소위 선진국이라 부르는 국가들의 경우는 높은 금융지식 보유율을 보이고 있었단 점입니다. 복지국가로 알려진 북유럽 3국의 경우 70%가 넘는 금융지식보유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남녀별 그리고 연령별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우리나라보다 1인당 GDP가 높은 국가들의 평균 금융지식 보유율은 58%로서 한국의 33%보다 훨씬 높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존심 상할 수 있는 이야기이지만, 현실에서 국내 금융 지식 수준은 거대해진 경제 규모에 비하여 너무도 미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고, 이는 재테크에서도 그 결과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ㅇ 분산투자 몰라, 이자는 많이 주면 좋고... 복잡한건 더 몰라!

 

질문/문제는 그저 텍스트일 뿐이라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현실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위험분산을 예로 든다면, 한국에서 4개의 문항 중 위험분산에 대하여 정답을 맞춘 비율은 42%에 불과하였습니다. 그러고보니 우리의 강력한 금융성숙도 라이벌인 우간다는 58%나 되는군요. 금융지식 보유율 71%로 1위인 북유럽 3국의 경우 위험분산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70%를 넘기고 있습니다.

 

현실에서는 어떠할까?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발표한 작년 기준, 12월 결산 법인의 주주들의 보유 종목수 통계치에 따르면, 1종목을 보유한 주주수는 44.9%에 이르렀고 2종목을 보유한 투자자는 19.3%였습니다.

즉, 실질적으로 주식투자자 중 2/3는 한두종목에 몰빵투자하는 분산투자와는 거리가 먼 투자를 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 종목에 몰빵투자하는 한국 투자자의 현실, 자료 : 한국 예탁결제원]

 

 

실제 많은 개인투자자분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5종목 이상 분산투자하는 것에 대해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잡해서 나는 한 종목에 쇼부를 건다구!"

 

이 뿐만 아니라, 이자율 문제에서의 정답률은 한국 47%입니다만, 유럽 각국의 평균은 60%~70% 수준임을 감안 해 본다면, 이자율 문제에서 한국인의 인지도는 크게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자율 관련 문제는 당혹스럽지만 너무도 쉬웠습니다.

 

"100$를 당신이 빌리고자 한다, 105달러와 100$에 3%를 더한 것을 갚는 것 중 어느 것이 더게 돌려주게 되나?"

 

이런 문제의 정답을 맞춘 사람의 비율이 47%에 불과하였습니다.

이는 현실에서 너무도 다양한 문제로 나타납니다.

얼마전 어떤 유사수신업체가 투자자들에게 원금보장과 월 몇%수익을 보장한다면서 다단계 형태로  수천억원을 모집하였던 사건이 뉴스화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뉴스는 이상하게도 1년에 몇차례씩 발생하고 매년 그 규모는 사상 최대 규모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뒤돌아보면 말도안되는 사건이지만, 매년 큰 규모로 한 두건씩 반복되고 있다는 것은 금융문맹률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ㅇ 재테크 후진국 탈출, 범 국민적 금융 공부가 필요하다.

 

국내 금융시장이 성숙 해 지지못하고, 금융 지식 수준이 세계 상위권이 아닌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단 점은 현재 우리나라게 재테크 후진국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기도 합니다.

현실에서는 금융, 재테크에 대한 공부는 돈만 밝히는 불미스러운 행위로 치부하고 대학생이 주식투자를 공부하며 어린 것이 돈만 밝힌다고 핀잔만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뀌어야만 합니다. 

 

 

[금융지식 보유율과 1인당 GDP추이]

[도표자료 : Financial Literacy Around the World, S&P Global finlit Survey]

 

 

S&P의 이번 "Financial Literacy Around the World" 리포트 중간에는 위와 같은 도표가 있었습니다. 금융지식 보유율이 높으면 높을 수록 1인당 GDP수준이 높다는 것을 표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융지식에 대한 공부, 당장에는 재테크에 큰 결과를 만들어 내지는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귀찮기 때문에 공부를 안하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소득수준을 레벨업 시키고, 개인의 장기적인 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금융지식에 대한 공부를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만 현실에서 사기꾼들에게 당하지 않고, 말도 안되는 이자율로 돈을 빌리지 않으며 몰빵투자로 전 재산을 날리지 않게 됩니다. 

지식을 지혜로 만들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있을 때, 재테크 지식은 실제 현실에서 자신의 자산을 불리는 중요한 키가 되어 줄 것입니다.

15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