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메르스 관련 피해 업종에 대한 금융지원을 추진한 결과 초기 2주 간 1,722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3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6월15~26일 중소기업 금융애로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신청은 897건으로, 이중 791건에 1,722억원의 금융지원이 이뤄졌다. 이중 대출지원이 705건으로 1,582억원, 보증지원이 86건으로 139억원을 차지했다. 대출의 경우 기존대출에 대한 만기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가 461건(1,404억원)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신규 대출은 244건(178억원)을 지원했다, 보증은 만기연장 10건(27억원), 특례보증 76건(112억원) 등이었다.
주요 지원 업종은 운수업(179건, 287억원), 외식업(119건, 106억원), 여행업(85건, 64억원), 병원 등 보건업(83건, 394억원), 숙박업(61건, 267억원) 등이었다.
피해업체에 대한 정부의 금융 지원은 현재진행형이다. 은행권 대출 만기연장 및 저리자금 융자는 6월15일부터 3개월 간 신청할 수 있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기존 보증에 대해 1년간 전액 만기 연장하고 업체당 운전자금 3억원까지 보증료 및 보증 비율에 우대 혜택을 준다(보증료 1.0% 이하, 보증비율 95%). 역시 지원 기간은 6월15일부터 3개월간이다.
관광객 감소 지역으로는 서울 명동, 남대문, 북창, 동대문 패션타운 등이며 경기도 평택시 송탄, 충남 아산시온천 등이 포함된다. 관광객 감소가 현실화되는 지역이 있으면 추가한다는 게 위원회 방침이다.
여기에 메르스 발생 지역에서 영업 중인 영세소상공인, 관광특구 지역에서 관광객 감소로 곤란을 겪고 있는 영세소상공인에 대해 채권추심회사가 전화 및 방문 등을 통한 적극적인 추심행위를 중단토록 했다, 신청은 6월26일부터 3개월간 받는다.
미소금융을 통한 전통시장 상인 지원책도 마련했다. 올 하반기부터 전통시장에 대한 일반자금 지원규모를 늘리고 조기지원도 추진한다는 것, 지원규모는 상반기 2배 인 40억원이며 지원시기도 9월에서 6월로 앞당겼다. 전통시장 내 영세상인 소속 상인회에서 12월31일까지 접수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전화 1332, 웹페이지 www.fss.or.kr/fss/kr/info/counsel/FnHearing_write.jsp)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메르스 피해업종에 대한 금융지원이 시행 초기 단계로 저리 정책자금 대출, 만기 연장 및 원리금 상환유예에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메르스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적시에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관련 업계를 독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효문 기자 fh.yomun@daum.net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