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업은행은 서비스개발 발빠른 준비
국민·신한은행은 고객이탈 우려에 관망세
정부의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이 발표되자 은행별로 뚜렷한 전략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주목된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은 관련 서비스를 적극 개발하며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관망세를 보이며 관련 비즈니스의 모델 연구에 들어갔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6일 모바일 전문은행 위비뱅크를 출시했고, 기업은행도 금융위가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발표한 18일 모바일 플랫폼 i-원(ONE)뱅크를 오픈했다. 위비뱅크와 원뱅크 모두 스마트폰 앱을 통해 다양한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어 인터넷전문은행 시범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이들 은행과 대조적으로 상황 변화를 관망하며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은행들이 각기 다른 행보를 보이는 데는 인터넷전문은행이 갖추게 될 특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영업점포 없이 인터넷 기반으로 은행업을 영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업금융보다는 소매금융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인터넷전문은행은 기업금융보다 소매금융에 특화된 경우가 많다"며"우리나라에 도입될 인터넷전문은행 역시 소매금융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이 인터넷전문은행에 높은 관심을 갖고 다른 은행보다 발 빠른 준비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은 기업금융에 강점을 보이는 반면 소매금융에서는 다른 은행보다 열세에 놓여있다. 열세에 놓은 소매금융을 인터넷전문은행으로 만회하겠다는 노림수가 담긴 행보이다.
그러나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정반대 상황에 처해 있다. 소매금융 강자인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출현하면 당장 고객 이탈을 걱정해야 할 처지이다. 소매금융에서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 출현이 달갑지 않을뿐더러 금융당국의 추진 속도에 당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과 관련해서는 정해진 바가 없다"며 "현재는 도입방안이 나온 만큼 비즈니스 모델이나 파트너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금융도 같은 입장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 관련 TF가 구성돼 있지만 현재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대해서는 결정된 것이 없고 금융위의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분석하고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시대적 상황인 만큼 고민은 하고 있지만 우리은행이나 기업은행처럼 구체적인 실행에는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이다.
김혜미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해외사례를 보면 인터넷전문은행과 기존 은행들이 금리나 수수료 혜택을 두고 경쟁이 치열하다"며 "국내서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되더라도 은행과 고객기반이 겹치기 때문에 소매금융에 강점을 지닌 은행들은 고객 이탈을 우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이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져도 성공한 케이스가 많지 않기 때문에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도규상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 국장은 지난 18일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방안을 발표하면서 ICT기업이나 2금융권의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은 바라지만 은행 주도의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대해서는 "소망스럽지 않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바 있다. 금융당국의 이같은 입장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적극적인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된다.
[조세일보] 조은국 기자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