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지인을 통해 가입했다면, 당신의 보험을 의심하라![10]
추천 11 | 조회 5408 | 번호 4482 | 2015.06.24 15:49 함께가자 (hello***)







믿고 가입한 보험, 다시한번 생각해 보자!


본사 홈페이지를 통해 재무상담을 신청한 50대 초반의 K() 상담 사례다. 현재 월 1,000만원이상의 가계 수입으로 생활하며, 알맞은 수준의 대출을 이용해 집 한 채를 소유했고, 연금도 불입하여 노후준비도 적절히 하고 있었다. 부부의 관심사는자산을 효율적으로 불려서 더 편안한 노후를 보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K씨는 적금과 펀드, 그리고 변액연금을 적절히 이용해 전체적으로 양호한자산관리를 하고 있었는데, 한가지 실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부부 각각을 피보험자로 하여 1억원을 보장하는 종신보험료로 월 26만원을 내고 있었다. 이미 14년간 냈고 1년만더 내면 끝난다며 희망을 갖고 있었다. 보험료가 비교적 비싼 종신 보험을 10년 이상 유지하는 고객들이 흔치 않기에 그 성실함과 인내심을 높게 평가해 드렸다. K씨는 “14년 전, 남편소득도 넉넉하지 않은 형편이었고, 아이도 어려서 돈 들어갈 곳이 많았지만 지인이었던 S생명 설계사의 권유로 가입하여, 나이 들어 해지할 작정으로 저축이라생각하고 꾹 참고 냈다.”라며 뿌듯해 하며 자랑스럽게 설명 했다.


가입한지 14, 168회를 납입한 현 시점의 해지환급율은 90% 수준, , 납입한원금은 4,368만원인데, 현재 시점의 해지환급금은 3,931만원 인 셈이다. 14년 이나 꾸준히 납입하고 원금도 돌려받지못하는 상품인데도 K씨는 그래도 꾹 참으며 냈으니 지금 4,000만원정도의 목돈이 생긴 것 아니냐며 즐거워한다. 이렇게 강한 믿음을 심어 주었으니 판매자의 입장에서, 14년 전 설계사의 판매는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겠지만, 14년 전 K씨가 저축성 보험상품에 가입했더라면 현재의 해지환급률은어떠할까? 정확한 예측은 어렵겠지만 100%는 넘어 있을것이다. 종신보험은 사망 시에 보험금을 주는 것이 주 목적이다 보니 월납 보험료에서 사업비를 차감한 후, 사망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한 재원으로 많은 부분을 차감하고 계약자를 위한 적립금을 쌓으므로 저축성보험에비해 적게 쌓인다. 그러한 구조로 인해 해지환급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할 수 밖에 없다. K씨가 처음부터 사망보장을 원했다면 종신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모범답안이었겠지만, 미래의 언젠가 목돈이 되었을 때 해약하여 유용한 곳에 사용하리라는 생각으로 종신보험에 가입했다면 비효율적이고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재테크였다 할 수 있다.



K씨의 재테크 방법이 정말로 실수인지, 가상 설계로 비교하며확인해 보자.


M사 종신보험:

(사망보험금 1억원

: 21만원, 15년납)

M P저축보험:

( 20만원, 15년납,

30년만기)

차이 (② - ①)

50세 해지환급금 ()

3,591만원 (94.8%)

4,258만원 (118.3%)

667만원

65세 해지환급금 ()

5,361만원 (141.5%)

6,801만원 (188.9%, 만기)

1,440만원

*1980년생(35) , 사무직 가정, 현재 표준이율(3.25%)가정


35세 사무직 남성이 월 21만원 종신보험 가입 시와, 20만원의 저축보험에 가입 시 해지환급금을 비교해보자(동일이율). 15년 경과되는 시점인 50세의 환급금 차이는 667만원, 본격적인 노후의 시작인65세 시점의 환급금은 1,440만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망보험금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당신의 선택은 어떤 것일까? 당연히저축성 보험을 선택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와같이 장기 적금이라 생각하고 종신보험에 가입한 고객들을 많이 만나보았다. 모두들 지인의 권유로 적금이라굳게 믿으며, 해지환급률이 100%에 이르는 그때 만을 기다리며허리띠 졸라 메며 내고 있었다. 이러한 판매 행위는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에 대한 기초 이해가 부족한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을 이용한 판매로, 높은 수당을 받기 위하여 보험사 전속 설계사들이지인들에게 접근하는 방법 중 하나이니 주의가 필요하다.


세상에 누가 원금만 돌려받기 위해 금융상품을가입하는가? 수익을 기대하는 일반적 금융소비자의 기대에 충실하게 생각해 볼 때, 종신보험은 피보험자 사망시에만 재대로 혜택을 누릴 수 있음을 명심하자. 종신보험이필요한 경우는 필자의 앞선 칼럼에서 언급했듯이 자녀가 모두 독립하여 출가한 후에 사망하더라도 보험금을 남기고 싶은가?” 이 한가지만 신중히 생각하면 필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정현금흐름의 개선을 위해서는 지출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첫 단계다. 필수 고정 지출 항목 중 많은 비중을차지하는 보험 가입현황을 점검하다 보면 대다수 가정에서 잘못 가입된 보험을 발견할 수 있다. 잘못된보험의 과감한 구조조정 없이는 건전한 가계재무구조는 완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심하고 은행, 증권, 보험으로 대표되는 금융의 모든 영역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을 가진 재무상담사를 통해 진단 받고 돈걱정 없는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계획에 따라 차근차근 실천해야 할 것이다.


11
1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