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0%대 예·적금 등장시킨 은행권...우리의 현명한 투자는?[12]
추천 25 | 조회 40224 | 번호 4415 | 2015.06.19 03:55 레드와인 (yb***)


“...시중은행에 따르면... 17일부터 정기적금과...상품의

6개월 만기 금리를 연 1.10%에서 0.80%로 낮췄다.”



‘기준금리 인하에…0%대 예·적금 등장’이라는 제목의 한겨레신문 인터넷기사내용이다. 기준금리가 1.5%라는 역사상 최저의 수준으로 인하된 지 열흘도 지나지 않았는데 은행권의 발 빠른 상품 금리 조정을 알려주고 있다.




은행을 통해 본 현명한 투자 ①

기준금리 하락에 가장 민감한 은행들은 제일 먼저 예·적금 금리를 낮춤으로써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이자 즉, 은행입장에서는 지출을 줄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입과 지출이라는 현금흐름의 구조조정을 가장 먼저 한 것이다.


우리 집은 불필요한 지출항목이나 수익을 내고 있지 못하는 금융상품에 계속 납입해서 새고 있는 돈은 없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해보는 현금흐름 개선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우리의 첫 번째 투자이다. 한 달에 새는 돈 10만원을 줄였다면, 2%짜리 예금에 6000만원을 투자한 것과 같다. 어차피 고만고만한 저금리 상품들인데, 금리 0.몇% 더 주는 상품을 찾는 것보다 매달 지출을 바로 잡는 것이 현명한 투자이다.







은행을 통해 본 현명한 투자 ②

그런데, 대출금리도 내렸다는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왜 그럴까? 은행의 입장에서 예·적금 금리는 고객에게 지급해야할 이자 지출이지만, 대출 금리는 고객에게 받는 이자 수입이기 때문이다. 수입 감소(대출금리 인하)는 최대한 늦추고 그사이 지출 감소(예·적금 금리인하)를 통해서 조금이라도 이윤을 늘리는 꼼수를 부린다고 욕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은행도 돈을 벌기위해 사업을 하는 ‘회사’인데 시장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오히려 금융환경이 급변하고 있는데 ‘이래선 안 되겠다’고 생각은 하면서도 제대로 신경 못 쓰는 우리가 잘 못 대처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라는 금융시장의 변화에 곧바로 행동으로 옮겼다. 지출(예·적금 금리)만 줄이고 수입(대출금리)은 건드리지 않았다는 것은, 그 이면에 하반기 금리변동이 예측 가능할 때까지 약간이라도 이익을 더 남기면서 준비하겠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새로운 수익구조를 찾는 것은 그다음이라는 얘기다.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준비를 먼저 해야 한다. 더 좋은 상품 없을까 찾는 것은 그 다음이다. 시장이 변할 때 마다 상품을 찾다보니 1~2년도 안돼서 다시 시장이 변하면 손해를 보는 게 아닐까? 투자는 예상과 다르게 손해를 볼 수는 있어도 위험한 것은 아니다. 도박을 하듯이 운에 맡기는 투자를 하니까 위험한 것이다. 먼저 내가 알아야 한다. 투자를 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 그것이 두 번째 현명한 투자이다.





예·적금으로는 답이 안 나온다는 거는 모두가 아는 사실이지만, 당장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투자들은 무엇인가? 아직도 예·적금이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가정이 대다수일 것이다. 돈이 안 되는 것은 알지만, ‘바쁘다보니까’ 혹은 ‘다른 건 잘 몰라서’ 답답해도 어쩔 수 없이 예·적금을 하고 있는 것이리라.


하지만 되묻고 싶다. 매일 9시간이상 일하는 것은 누구를 돈 벌어주기 위해 바쁜 것이고, 투자는 언제까지 잘 모를 것인가? 나와 우리 가족에게 돈을 벌어주기 위한 것인데 시간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알아두면 두고두고 수입에 도움이 되는 지식인데, 주말에 근교 나들이도 좋지만, 가족과 함께 도서관이라도 가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자녀에게 교육도 되고, 우리도 준비할 수 있는 훌륭한 시간투자라고 생각한다. 내친김에 올 여름 피서는 공립도서관으로 가자. 냉방도 잘되어 있고, 책도 무료로 빌려볼 수 있다. 참고로 지하에 있는 구내식당은 상당히 저렴하다.


‘10년 안에 10억 모으기’라는 ‘텐인텐’모임이 유행처럼 번지던 때가 있었다. 모 모임에서 클럽회장이 한 말의 취지가 뇌리에 남아 소개해 드린다.


“10년 안에 10억 모으기,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단, 9년 동안 공부하십시오. 그리고 1년 동안 10억을 만드는 겁니다.”



25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