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1% 금리시대 서바이벌① 0.1% 금리절벽, 5% 수익 구름다리로 넘자![5]
추천 8 | 조회 16257 | 번호 4305 | 2015.06.08 15:13 펀드슈퍼마켓 (simamoto1***)

우리나라에도 1% 금리시대가 활짝 열렸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12일 기준금리를 1.75%로 전격 인하했다. 뒤이어 은행 예금금리가 1%대로 속속 들어서고 있다. 대출 금리는 2%대 후반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자 “금리가 정말 기가 막힌다”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1%대 예금에 돈을 넣는 사람들은 도대체 불어나지 않는 통장에 ‘기가 막힌다’고 울상이다. 반면 은행 대출을 받아 이자를 내는 사람들은 태어나 처음 누리는 초저금리에 ‘기가 막힌다’고 웃는다.


천지개벽 같은 일이 아닐 수 없다. 1억원을 은행 예금에 넣어봤자 세금을 떼고 나면 월 13만원밖에 손에 쥐지 못한다. 은퇴한 사람이 은행 이자로 월 150만원의 생활비를 만들자면 10억원 저축으로도 모자란다.


1%대 금리는 지금 우리 경제가 당면한 구조적 문제를 가장 상징적이고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경제의 장기 침체와 성장잠재력 저하, 가계부채, 소득감소, 내수부진, 일자리 부족, 양극화 등 모든 현상이 뒤얽혀 만든 합작품이다. 세계 경제가 어렵든 말든, 우리 경제가 멀쩡하다면 금리가 1%대까지 내려오진 않았을 것이다. 문제는 이게 단기간에 끝나지 않고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지금 1% 금리와 장기 불황이라는 깎아지는 절벽 끝에 서있는 형국이다. 발을 헛디디면 천 길 낭떠러지 아래로 나뒹굴게 된다. 1% 예금에 돈을 넣어두면 우리의 재산은 속절없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 돈이 돈 같지 않은 세상이다. 하지만 아직도 너무 많은 사람들이 대책 없이 걱정만 한다. 시간이 좀 흐르면 과거처럼 되지 않겠나 하는 막연한 기대에 젖어 사는 사람이 적지 않다. 막연한 걱정도, 기대도 다 깨야 한다. 현실을 직시하고 살아갈 길을 찾아야 한다.





피할 수 없는 길이라면 거꾸로 즐기겠다는 각오로 맞붙어보는 용기가 필요하다.

1% 금리 절벽을 5% 정도 수익의 구름다리로 넘는 것이다. 그렇게 겁낼 것도, 대단히 위험할 것도 없다. 은행 이자 이상의 현금 흐름이 나오는 투자형 자산을 찾아 올라타면 된다. 주식과 채권, 수익형 부동산, 이런 것들을 섞은 펀드, ELS(주가연계증권) 등에 투자하는 것이다. 특히 소액의 개인 투자가들에겐 펀드가 제격이다. 1%의 금리 절벽을 넘을 방법은 사실상 투자 밖에는 없다.


“또 그 소리인가? 한두 번 속은 게 아니다”고 고개를 돌리는 분들이 많을 줄 안다. 쓰라렸던 실패의 추억, 이해가 간다. 하지만 과거에 왜 실패했는가를 곱씹어봐야 한다. 소신 없이, 남들 따라 하다가, 특히 욕심이 과했기에 투자를 그르쳤던 게 아닌가 말이다.

투자에 성공하려면 스스로 감당 가능한 적정 목표수익을 정하는데서 출발해야한다. 바로 연 5% 안팎의 중수익이다.



국내외 주식시장에는 연 2~3%의 배당을 꾸준히 주는 기업이 의외로 많다.

거기에 혁신 역량을 겸비해 미래 성장 기반까지 갖춘 기업이라면 주가가 연 5% 이상 오르고도 남는다. 매일 주가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내재가치가 탄탄한 기업의 주인이 돼 느긋하게 기다려 보자. 그런 배당주나 가치주를 고르기 힘들다면 투자 고수들이 그런 걸 모아 잘 버무려놓은 펀드에 올라타보자. 요즘 진짜 친구처럼 믿을만한 자산운용사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어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1% 금리는 부동산시장의 판도도 뒤집어 놓았다. 안정적인 현금 수익을 얻는 데는 부동산만한 게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수익형 부동산들이 뜨고 있다. 발품을 팔면 5%대의 임대 수익이 충분히 나오는 아파트와 오피스텔, 빌라, 상가 등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리츠나 부동산펀드를 활용하면 소액으로도 그런 투자가 가능하다.

세상에 돈은 넘쳐난다. 뭔가 투자의 명분만 주면 뛰어들겠다고 아우성이다. 세계 주요국은 이미 초저금리가 가져온 자산시장 ‘뉴노멀 붐’을 즐기고 있다. 미국과 독일 증시 등이 사상최고치 경신 행진을 벌이고, 일본과 중국 증시도 크게 반등했다. 세계 주요 도시의 수익형 부동산에도 돈이 몰리고, 글로벌 리츠들이 3년 째 연 10%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다.

한국은 최근 몇 년간 증시도 부동산시장도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하지만 자금흐름의 물꼬만 잘 트이면 한국도 뉴노멀 붐에 올라탈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 1% 초저금리 시대는 현실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도전하는 사람들에게 큰 축복일 수 있다. 이제 1% 금리절벽을 넘을 투자 여정에 본격적으로 들어가 보자.



글. 김광기 중앙일보시사미디어 본부장 kim.kwangki@joins.com




8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