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금리동향] 6월 2주 정기예금 금리
추천 3 | 조회 6821 | 번호 4297 | 2015.06.08 09:07 디아이소프트 (blackma***)

금주 예금금리는 지난 주와 비교해 시중은행은 일부 하락 하였으나 저축은행은 동결상태를 유지하였다. 이것은 계속된 기준금리 동결로 인한 것으로 현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6월 2주차 시중은행 평균 예금금리는 1.69%포인트를 기록했다.(소수점 세 자리 이하 버림) 지난주 평균 예금금리 1.71%포인트와 비교해 0.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은행들이 시중금리 동결에 일부 하락을 시행한 것으로 예상되며, 시중은행 3개 상품을 제외하곤 1%대 금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저축은행 평균 예금금리는 지난 주 2.16%포인트에서 이번 주 2.16%포인트로(소수점 세 자리 이하 버림) 시중은행과 마찬가지로 동결로서 지난주에 이어 숨고르기 한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6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정례회의에 경제계와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바로 한국 사회를 강타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라는 변수가 돌출해서다.


당초 지난 3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0%에서 1.75%로 낮춘 이후 당분간 금리 효과와 국제 금융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실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말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연내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서 앞으로 국제 금융시장의 움직임과 자금흐름을 잘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사망자 수가 7일 현재 5명에 이르는 등 메르스 상황이 이달 초부터 급박하게 돌아가자 금리 결정을 준비하는 금통위는 바빠지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 경제의 실물 지표가 좀처럼 호전되지 않고 있어 자칫 내수 등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메르스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우리 경제가 설상가상의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우선 수출과 성장세가 모두 침체의 늪에 빠져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일 발표한 ‘5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10.9% 급감했다. 5개월 연속 감소에다 그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례를 봐도 전염병이 통화 당국 정책의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 홍콩과 중국 등 아시아를 휩쓸었던 당시 통화 당국도 신속히 대응했다. 그해 4월 국내 의심환자가 처음 발생하자 한은은 5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다. 카드사태와 북핵 문제 등 경제의 거시 요인들이 불안정했던 것도 지금과 흡사하다.


물론 메르스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주장도 있다. HSBC는 “4월과 5월 내수가 다소 개선된 데다 메르스의 경제영향을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금통위가 6월에는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중은행>


<저축은행>


* 상기 금리는 12개월 정기 상품 기준입니다.
*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 저축은행중앙회


3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