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방코델타아시아 [ Banco Delta Asia S.A.R.L.(BDA) ]
추천 0 | 조회 83 | 번호 3830 | 2015.04.24 17:33 금융 (finance1.***)

방코델타아시아 [ Banco Delta Asia S.A.R.L.(BDA) , ?業銀行 ]


( * 마카오에 있는 중국계 은행. )


중국의 특별행정구 마카오에 있는 소규모 은행으로, 1935년 델타아시아파이낸셜그룹 계열사로 설립되었다. 1962년 홍콩에 투자와 보험 업무까지 취급하는 자회사를 만들어 업무 영역을 확대했고, 1973년 상업은행으로 인가 받은 이후 북한의 은행 및 무역회사들과 거래하면서 사실상 북한의 유일한 외환결제 창구 역할을 했다. 1994년 방코델타아시아는 북한이 예치한 16만 달러 중 100달러짜리 위조지폐를 다량 발견해 마카오 경찰에 이를 신고했고, 이후 미국 정부는 북한의 위폐와 마약, 금괴밀수 등 불법행위를 감시해왔다.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여 경제적 제재를 가해온 미국은 2005년 9월 미국 애국법(PATRIOT Act) 311조에 의거, 방코델타아시아(BDA)를 북한의 돈세탁 창구로 지목하고, 자국의 금융기관에 거래를 중단하도록 한 데 이어, 다른 나라들에 대해서도 BDA의 불법 금융활동에 유의하도록 통보했다. 이에 도산 우려가 팽배해지면서 예금인출 사태가 벌어지자 마카오은행감독기구가 구제 차원에서 2,500만 달러의 북한 자금을 포함한 모든 금융거래를 동결시키자 미국과 북한 간 갈등이 고조되었다.


마카오 행정청은 곧바로 BDA의 경영관리와 구조조정에 나섰고, 이와 함께 미국의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인 언스트앤영에 BDA의 감사를 위탁했다. 미국 주요 일간지 중 하나인 〈매클래치 신문 McClatchy Newspapers〉이 2007년 4월 16일에 "감사 결과 북한의 외환거래 주 창구인 BDA는 미국 달러화의 위조지폐를 세탁하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는 언스트앤영의 감사 결과를 기사화했지만 미국 정부는 기존의 입장을 변경하지 않았다. BDA에 동결됐던 북한 자금은 북한과 미국의 정치적 합의에 따라 그 해 6월 미국 뉴욕연방은행과 러시아 중앙은행을 거쳐 북한 계좌로 이체되었다.


BDA는 2004년말 현재 마카오에 9개 지점을 두고 있고, 예치금 37억 500만 홍콩달러(약 4,400억 원), 총 자산 42억 홍콩달러(5,000억 원)에 6,290만 홍콩달러의 순이익을 거두어 자본 기준으로 마카오 은행권의 6위 수준이다. 2010년 현재 그룹의 최고경영자는 어우쭝제[區宗杰, 스탠리 어우]로 마카오 입법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출처 : 브리태니커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