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은행연합회 [ The Korea Federation of Banks , 全國銀行聯合會 ]
( * 한국 금융산업의 발전과 건전한 신용거래 질서 확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법인. )
금융기관 간의 긴밀한 업무협조와 은행업무의 개선 등을 통해 금융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금융기관 거래처에 관한 신용정보 관리 및 평가 등을 통하여 건전한 신용거래 질서를 확립하고자 설립되었다. 사원은행은 시중은행 및 특수은행, 지방은행을 정사원은행으로 하고, 외국은행의 국내 지점을 준사원은행으로 하고 있다.
1928년 11월 1일 경성은행집회소를 설립하고 1948년 9월 서울은행집회소로 개칭했다. 1975년 4월 1일 서울은행협회로 개편했으며, 같은해 11월 1일 전국은행협회로 확대·개편했다. 1981년 1월 1일 전국지방은행협회를 흡수하여 1984년 5월 9일 지금의 전국은행연합회로 개편했다. 1991년 4월 9일 전국은행연합회 금융경제연구소를 사단법인 한국금융연구원으로 분리·독립했다. 1996년 12월 27일 전국은행연합회 회관을 준공하고 1997년 7월 1일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 등록했다. 1999년 2월 1일 전직금융인재취업센터를 설립했다. 2001년 12월 1일 금융신상품심의위원회 사무국을 설치하고 2006년 2월 27일 은행사회공헌협의회를 신설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금융인의 자질 향상, 복리후생의 증진을 통한 사회적 지위 향상, 사원은행 경영 개선 및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대정부 정책 제안, 사원은행 현안사항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 및 업무 개발, 사원은행 업무 향상을 위한 각종 회의·세미나·설명회 개최, 금융경제에 관한 조사, 연구자료 및 금융인을 위한 각종 간행물 발간 등의 주요기능을 맡고 있다. 그밖에도 금융기관 직원의 후생복지를 위한 시설의 설치 운영, 금융인 상호 간의 협의와 친목 도모를 위한 사업 또는 시설의 설치 운영, 국내외 각종 경제단체와의 연락 및 협조, 금융기관 대외홍보 및 공동이익을 위한 조치의 수립·실시, 은행회관의 관리·운영, 금융기관 거래처에 대한 신용정보의 집중·관리·제공 및 제도 개선, 신용정보 온라인망 및 PC 통신망 유지 관리 등의 기능을 맡고 있다.
조직은 정책결정을 위한 의결기구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집행기구로 나뉜다. 의결기구는 총회를 중심으로 이사회와 산하에 시중은행협의회·특수은행협의회·지방은행협의회·은행사회공헌협의회, 27개의 전문위원회로 이루어지며, 집행기구는 회장, 부회장, 감사를 비롯해 산하에 8부 2실로 조직되어 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3길 9번지 은행회관에 위치하고 있다.
[ 출처 : 브리태니커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