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은행 [ investment bank , 投資銀行 ]
( * 기업과 정부기관의 신규 유가증권을 발행·인수·배분하는 기업. )
투자은행은 기업으로부터 모든 신규발행 증권을 일정한 가격으로 구입한 후 거래비용과 이윤을 보상하는 가격으로 일반 투자자에게 소액단위로 분산 판매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유가증권의 가격은 주로 투자은행의 책임하에 결정된다. 이는 투자은행의 경우 시장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현행 이자율과 수익률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주식에 대한 수요의 크기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가증권발행을 인수·배분할 때 투자은행들은 대부분 신디케이트를 형성한다. 필요자본액이 너무 커서 투자은행 단독으로 유가증권발행의 전부를 구입하기가 어렵게 되면 기업의 증권발행을 담당하는 투자은행은 투자은행가 그룹을 조직하여 매입의 책임분담을 결정한다. 그리고 증권발행을 담당하는 투자은행이 그룹의 관리자가 된다. 신디케이트를 조직해도 유가증권 시장에서의 공급을 모두 수용할 수 없다면 분배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선별된 딜러들이 개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가증권은 딜러에게 할인가격으로 매각된다. 할인가격은 딜러에게 그들의 비용을 보상하며, 분배가 잘 이루어지는 경우 이윤도 보장한다. 신규증권이 발행될 때 기업은 자신과 직접 관련이 있는 투자은행으로 하여금 신규증권의 발행을 담당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은 흔히 개별협정이라고 불린다. 이것과 대조되는 방식이 경쟁입찰인데, 이 경우 기업은 스스로 발행조건을 제시하고 모든 은행에게 입찰에 응할 것을 요구한다. 발행은 가장 높은 입찰자가 담당하게 된다.
[ 출처 : 브리태니커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