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이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되는 증권
♦ 매매제도
| 구분 | 내 용 |
| 매매시간 | 정규시장(09:00 ~ 15:00), 시간외시장(07:30~08:30, 15:10~18:00) |
| 호가가격단위 | 5원 |
| 매매수량단위 | 1증권 |
| 가격제한폭 | ±15%(레버리지ETN의 경우 그 배율을 곱한 금액) |
| 대용증권 사정비율 | 70% |
| 호가종류 |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경쟁대량매매호가 |
♦ ETN과 ETF의 비교
| 구 분 | ETN | ETF | |
| 법적성격 | 파생결합증권 | 집합투자증권 | |
| 발행주체 | 증권사 | 자산운용사 | |
| 신용위험 | 있음 | 없음(신탁재산) | |
| 기초지수 | 성 격 | 맞춤형 지수 | 시장추종형 지수 |
| 구성종목수 | 5종목 이상 | 10종목 이상 | |
| 제한영역 |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시장대표지수, 섹터지수 | - | |
| 상품구조 | 약정된 기초수익 제공 | 운용실적 등에 따라 수익 상이 | |
| 만기 | 1년~20년 | 없음 | |
♦ ETN 과세여부
- 증권거래세 : 비과세
- 배당소득세
| 구 분 | 국내주식형 ETN | 국내주식형 이외의 ETN(채권, 해외, 상품지수 등) | |
| 현금 분배금 | 배당소득세 15.4% | 배당소득세 15.4% | |
| 매매차익 | 환매(중도/만기상환) | 배당소득세 15.4% | 배당소득세 15.4% |
| 장내매도 | 비과세 | 배당소득세 15.4% | |
• 금융소득 종합과세 : ETN 분배금과 매매차익은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임.
♦ ETN의 투자지표
지표가치, 괴리율, 시장가격, 스프레드 등
⇒ 투자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 ETN의 투자위험
가. 발행사 신용위험
□ ETN은 증권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으로 무보증․무담보 회사채와 동일한 신용위험
ㅇ ETF는 신탁재산이 별도로 수탁은행에 보관되므로 자산운용사의신용위험에 노출되지 않음
=>기초지수 수익률과 상관없이 투자원금 손실 가능성
나. 기초자산 가격변동 위험
□ ETN은 기초지수 하락 시 손실이 발생하는 원금비보장 상품
ㅇ ETF에 비해 기초지수 구성종목수가 적으므로 가격변동 위험이 더 클 수 있음
다 . 유동성 부족 위험
□ ETN 발행수량이 투자자에게 전량 매출되거나 추가상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가격 급등락 가능성
라. 상장폐지 위험
□ 상장폐지 요건(발행회사 자격, 기초지수 요건, LP 요건, 규모 요건 등 미충족 시)에 해당되어 상장폐지 시 손실 발생 가능
ㅇ 다만, 발행회사의 파산이 아닌 경우 지표가치로 상환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