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ETN(상장지수증권)시장이란?
추천 0 | 조회 2333 | 번호 3146 | 2015.03.02 08:17 지니아이 (fnge***)

♦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이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증권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되는 증권



< ETN 시장 구조 >

♦ 매매제도

구분내 용
매매시간정규시장(09:00 ~ 15:00), 시간외시장(07:30~08:30, 15:10~18:00)
호가가격단위5원
매매수량단위1증권
가격제한폭±15%(레버리지ETN의 경우 그 배율을 곱한 금액)
대용증권 사정비율70%
호가종류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경쟁대량매매호가


♦ ETN과 ETF의 비교

구 분ETNETF
법적성격파생결합증권집합투자증권
발행주체증권사자산운용사
신용위험있음없음(신탁재산)
기초지수성 격맞춤형 지수시장추종형 지수
구성종목수5종목 이상10종목 이상
제한영역시가총액 가중방식의 시장대표지수, 섹터지수-
상품구조약정된 기초수익 제공운용실적 등에 따라 수익 상이
만기1년~20년없음


♦ ETN 과세여부
- 증권거래세 : 비과세
- 배당소득세

구 분국내주식형 ETN국내주식형 이외의 ETN(채권, 해외, 상품지수 등)
현금 분배금배당소득세 15.4%배당소득세 15.4%
매매차익환매(중도/만기상환)배당소득세 15.4%배당소득세 15.4%
장내매도비과세배당소득세 15.4%

• 금융소득 종합과세 : ETN 분배금과 매매차익은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임.

♦ ETN의 투자지표
지표가치, 괴리율, 시장가격, 스프레드 등
⇒ 투자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ETN

♦ ETN의 투자위험
가. 발행사 신용위험
□ ETN은 증권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으로 무보증․무담보 회사채와 동일한 신용위험
ㅇ ETF는 신탁재산이 별도로 수탁은행에 보관되므로 자산운용사의신용위험에 노출되지 않음
=>기초지수 수익률과 상관없이 투자원금 손실 가능성

나. 기초자산 가격변동 위험
□ ETN은 기초지수 하락 시 손실이 발생하는 원금비보장 상품
ㅇ ETF에 비해 기초지수 구성종목수가 적으므로 가격변동 위험이 더 클 수 있음

다 . 유동성 부족 위험
□ ETN 발행수량이 투자자에게 전량 매출되거나 추가상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가격 급등락 가능성

라. 상장폐지 위험
□ 상장폐지 요건(발행회사 자격, 기초지수 요건, LP 요건, 규모 요건 등 미충족 시)에 해당되어 상장폐지 시 손실 발생 가능
ㅇ 다만, 발행회사의 파산이 아닌 경우 지표가치로 상환 가능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