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0년도 남성 평균 기대여명 59세
1970년생인 김영만씨. 올 해 45세인 그가 조부님께서 돌아가셨을 때를 생각해 보면 초등학교도 들어가지 않았던 때였다. 1970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남성 평균 기대여명은 60세가 채 되지 않은 58.7세였기 때문에 김영만씨 기억 속에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그리 오래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김영만씨가 2030년이 되어 60세가 될 때에 살아있을 확률은 얼마나 될까?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교수와 김성용 통계연구소의 연구원의 신(新)기대수명 예측에 따르면 1970년생이 2030년까지 살아있을 확률은 94.6%이며 이 후 평균 34.7년을 더 산다고 하니, 김영만씨와 같이 현재 45세인 남성들의 기대 수명은 95세가 된다.
그렇다면 영만씨는 95세까지 잘 살아갈 수 있을까? 자녀들 교육시키느라 본인의 노후 준비는 지금도 뒷전인 영만씨.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영만씨가 은퇴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이 지금 현재 상황만 보더라도 충분히 짐작 할 수 있다.
▲ 우울한 100세 시대, 함께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아라
OECD국가 중 노인 빈곤율 1위. 노인 65세 이상 가구 중 50.2%는 월 90만원도 안되는 소득으로 힘겹게 살아가고 있고(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이 가운데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가구는 31.4%에 불과한 우리나라.(2014년 통계청자료) 이 와중에 부모님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의식은 31.7%로 과거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고, 엎친데 겹친격으로 공적연금은 여러번 개혁과 인구구조로 인해 많이 내고 덜 받게 되는 상황이 되었으니, 김영만씨의 준비 없는 은퇴 후 삶은 고독함과 빈곤함으로 점쳐질게 분명하다.
‘평균수명 100세‘인 세상이 우리를 향해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이 사실을 인식할 시간적 여유는 충분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시간을 받아드리고 용기있게 대면할 마음을 먹었다면 무엇보다도 당신과 오래오래 함께 할 수 있는, 당신을 위해 진심으로 충고해 줄 수 있는 재무전문가를 찾는데 노력하라. 100세 시대에 필요한 것은 금융상품보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제부터 상품이 아닌 사람을 찾는데 노력하고, 당신은 그 사람을 분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도록 애써야 할 것이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