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에 기대감을 내비치던 많은 근로소득자들은 요 며칠 열심히 근로소득공제 준비를 하면서 크게 실망했을 것이다. 월급이 아니라 오히려 추징을 당하는 소득자들이 상당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경제부총리는 소득공제에 대한 언급을 하며 불똥을 진화하려 하지만 어떤 식으로의 변화가 나타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소득공제 뿐 아니다. 담뱃값, 주민세 등 각종 세금등이 늘어나며 가계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은 떨어진 유가를 전기세에 반영하라는 언급을 했다.
유리지갑이라고 했던가, 투명한 소득과 세금의 굴레에 속해있는 직장인으로서 늘어난 세금은 부담이지만 시대적 공감과 함께 돌려주기 위한 노력을 조금이라도 보여주게 된다면 한 켠의 아쉬움은 뒤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과연 그러면 얼마나 전기세가 줄어들까? 우리가 체감할 수 있을만한 전기세의 인하가 나타날까? 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한국전력을 주식이라는 관점으로 분석 전기세 인하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한국전력은 단기 고점에 대한 불안과 대통령 발언 등의 리스크로 2달 여 가까운 조정세를 연출하였다. 12월은 특히 유가의 급락이 나타났던 시기이므로 연료가 절감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 하락이 진행되는 모습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유가의 하락보다 정책 불확실성이 더 컸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현 정부의 스탠스로 볼 때 전기세 인하가 크게 나타나리라 보기에는 어려울 듯 싶다.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공약 중 하나가 공기업의 정상화였기 때문이다. 상당한 부채로 인해 경영의 어려움을 겪었던 공기업의 정상화는 현 정부의 야심찬 공약 중 하나였다. 한국전력이 최근 3~4년간 8조원 가까운 손실을 보였고, 주공, 토공등의 경영도 부실했었기 때문이다. 많은 공기업들은 회사가 가진 유휴자산들을 팔기 시작했고, 그 결과물이 한전의 삼성동 부지 매각 및 주요 보유 유가증권의 매각 등이었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움직임은 시장에서 굉장히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제 한국전력은 팔 만한 굵직한 자산이 남아있지 않다. 정상화를 위해 현금유입이 가능한 부분은 실적의 개선 뿐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내걸었던 공약을 어겨가는 수준의 큰 폭의 전기세 인하가 나타날 것이라 기대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결론은 어느정도의 인하는 있어도 한국전력의 실적을 훼손할 만한 큰 폭의 전기세 인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기대감이 반영되었는지 혹은 작년 4분기의 실적 효과가 매우 크던 한국전력의 오늘 주가는 크게 반등하였다.
한국전력의 에너지원별 전력구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보다 약 5.3% 가량의 인하요인이 발생되었다는 분석자료가 있다. 가정에서 지출하는 전기세의 5%를 생각해보자. 주는 것 보다 받는 것이 크게 적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을 듯 하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