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행복한 펀드 투자의 3가지 원칙
추천 0 | 조회 1073 | 번호 2844 | 2014.12.02 09:48 펀드슈퍼마켓 (simamoto1***)

스마트펀드투자

 

차문현 대표의 펀드 특강 ②
행복한 펀드 투자의 3가지 원칙


시대가 바뀌면 자산관리 수단도 변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저금리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면서 펀드를 다시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차문현 펀드온라인코리아 대표가 지난 10월 17일 이데일리 Wealth Tour에서 발표한 내용을 요약해 게재한다.

현명하게 펀드를 투자하는데 필요한 3가지 원칙이 있다. 월스트리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개인투자자로 칭송받는 제시 리버모어의 삶은 그 자체 가 한편의 영화와 같다. 어린나이에 증권사 서기로 출발해 주식에 대한 감을 익힌 그는 미국 대공황 당시 우리나라 돈으로 2조원에 달하는 돈을 벌어들이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그의 말년을 행복하지 못했습니다. 그의 나이 54세 때 결국 큰 투자손실을 입게 되면서 재기 불능 상황에 놓이게 됐다. 몇 년 후 제시 리버모어는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 한통과 미미한 재산만 남긴 채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이렇듯 제시 리버모어가 불행하게 삶을 마감한 이유는 단지 고수익만을 쫓는 투자를 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행복한 펀드 투자의 원칙은 간단하다. 다음 세 가지를 잊지 않으면 된다.
첫째, 장기투자해야 한다. 펀드는 변동성이 있는 상품이라 단기적으로는 손실을 기록하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그 기간을 지나면 또 수익을 기록할 수도 있다. 단기적 성과만을 추구하여 실망하고 잦은 매매를 반복한다면 펀드투자 비용만 계속 나가게 된다.
둘째, 분산투자해야 한다. 시장의 예측은 그 누구도 하기 어렵다. 아무리 전문가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투자자산에 대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나누어 투자하는 것은 필수이다.
셋째, 정기적으로 꾸준하게 투자해야 한다. 장기투자도 분산투자도 꾸준하지 않으면 그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꾸준해야 결국 이기는 것이다. 

 

1. 장기투자해야 좋은 성과를 얻는다
우리나라 펀드 투자자들과 미국 펀드투자자들의 펀드보유기간을 조사한 결과. 다른 비중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10년 이상 투자 비중을 보면 한국은 6%, 미국은 14%를 나타낸다.
장기투자의 성과는 이미 검증되어 있다. 88년이란 긴 기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한번 매수하고 꾸준히 유지해온 수익률은 9.4%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강세장과 약세장을 완벽하게 예측하였다면 15.8%를 기록, 강세장과 약세장 예측이 50%만 정확했을 경우는 8.7%, 예측의 정확도가 71%였다면 수익률은 9.4%를 기록했다. 즉, 예측을 위한 고민의 시간과 매매비용 등을 고려한다면, 매수 후 장기간 투자해온 경우가 훨씬 합리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
글로벌 시장의 자산군별 수익률 추이를 보면 일정하게 좋은 수익률을 보이거나 나쁜 수익률을 보이는 자산군을 찾기는 어렵다. 자산배분의 수익률 추이 또한 중립적인 위치에서 꾸준히 양호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분산투자를 하는 것보다는 전략적인 자산배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세계 자산배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게리브린슨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포트폴리오 성과는 종목선택이나 시장예측보다는 자산배분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이 절대적으로 크다고 한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국내 자산에만 머물지 말고 이제는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비중은 전세계에서 2.1%에 불과하다. 따라서 국내에만 투자한다면 나머지 98%의 투자 기회를 놓치는 셈이 된다. 또한 국내 주식시장에만 투자할 때보다는 글로벌 분산 투자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펀드투자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 분석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주식에만 투자할 때는 수익률이 연평균 14.9%에 불과하지만 아시아와 북미 유럽 등으로 자산배분한 결과 19.4%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 꾸준하게 투자해야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다
투자를 할 때 이상적인 방법은 저점에서 매수를 하고 고점에서 매도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정확하게 고점과 저점을 알 수 없다. 대신 꾸준한 투자를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다. 꾸준하게 투자하는 것은 투자 시기나 투자금액의 분산을 통하여 심리적인 실패 요인을 제거해주는 비결이다.
금융위기 이후 적립식 투자를 했을 경우 거치식 투자와 비교를 해보면 꾸준한 정기투자가 얼마나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금융위기 이전 국내 증시가 최고점을 기록했 을때 투자를 개시했다고 가정해보면 적립식 투자는 약 21개월 만에 원금을 회복할 수 있었고 거치식으로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약 37개월(3년)이 지나야 원금을 회복할 수 있었다.

투자의 대가 워렌 버핏은 지난 2009년 버크셔헤서웨이 연례 미팅을 마치고 개인투자자에게 다음과 같이 충고했다. 시장전반에 골고루 투자할 것, 월 단위나 연단위로 투자할 수 있는 일정한 자금이 생기는 경우라면 저비용 인덱스 펀드에 투자할 것, 그리고 단기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것은 피하고 장기에 걸쳐 투자를 할 것.
이것은 결국 투자의 원칙인 동시에, 또다시 펀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가장 확실한 이유라 할 것이다.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