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QE(양적완화) 6년, 민낯을 보다!
추천 0 | 조회 501 | 번호 2829 | 2014.11.27 08:37 지니아이 (fnge***)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민낯은 1) QE가 시행된지 6년이 지났지만, 실물 경기 회복은 미약하다는 점과 2) 유럽중앙은행마저 자산확대 경쟁에 뛰어들면서 환율전쟁과 디플레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 즉 저가 및 공유 시대가 도래했다는 점이다.

20141119_QE6년민낯을보다


한국 경제가 직면한 민낯은 1) 저가 경쟁으로 한국 수출 경쟁력도 예전만 못해진 점과 2) 한국 투자는 장기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과 3) 소득진작 정책이 방향성은 맞지만 효과를 거두기에는 다소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는 점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될수록 뉴 메이크업 즉 새로운 정책들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과 유럽의 재정정책과 중국 금리 인하 등이다. 이러한 정책들이 집중되는 2015년 중반에 성장률이 한시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사는 2015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3.5%, 2016년과 17년 성장률은 3.0%와 3.2%로 전망한다.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강하지 않아 2014~15년경 중기 성장률 정점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물가는 상반기 중 2% 초중반대까지 상승한 이후 하반기에 재차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처럼 정책 효과가 갖고 있는 한계를 감안하면 더디게 진행되지만 구조적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 서비스업 비중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설비확대보다는 M&A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 산업구조가 변하고 있는 것이다.


환율 측면에서 미국 달러의 강세를 막을 막한 요인은 많지 않아 보인다. 금융시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상반기 중 엔달러 120~125엔/$, 유로당 1.20$를 빠르게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원화도 미국 달러 강세 영향으로 절하 우위 흐름이 예상된다. 원화는 엔화에 연동될 가능성이 높아 원달러 환율은 1,080~1,150원대의 흐름이 예상된다.


리포트 내용 자세히 보기 →


2015년 주식 시장 전망

2015년 주요 이머징 국가들의 위험성은? 

너지 : 2015년, 다시 한 번 싸게 살 기회가 왔다 

자동차: 길게 보면 해답은 부품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