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보면 지난주 목요일은 빅 이슈들이 한데 몰린 어마어마한 날이었습니다. 우선 그날 1)제가 한국외대에서 강연을 진행했으며, 2)스코틀랜드 독립투표가 실시되었고, 3)미국 FOMC 결과가 발표되어 많은 이들을 잠 못 이루게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경제에 별 관심 없는 사람들조차도 깜짝 놀라게 만들었던 그 사건! 바로 현대차그룹이 한국전력 부지를 낙찰받는데 무려 10조원을 써냈다는 소식이 전해졌죠.(이날 외대강연에서도 한 학생이 이 이슈에 대해 물어볼 정도였습니다.)
해당부지의 감정가격이 불과(?) 3조원 남짓이었기에 현대차그룹이 너무 '오버했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는데요. 굳이 여러 말할 필요없이 그날 이후부터 현재까지 현대차그룹 종목들이 보이고 있는 주가 움직임에 시장반응을 잘 묻어나는 거 같습니다. 입찰발표가 난지 1주일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지금도 이에 관한 무수히 많은 뒷얘기가 오가고 있는데요. 여러분도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이번 사태의 개요에 대해 충분히 파악하셨으리라 믿습니다. 하지만 이를 다루는 국내외 언론의 보도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국내언론과 해외언론의 시각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국내언론이 '기업광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겠죠.
따라서 오늘은 독자 여러분께 색다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해외 언론사가 이번 사태에 대해 보도한 내용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현대차그룹의 통 큰 베팅에 대해 반대 내지는 혹평을 보내고 있는 국내 언론사들이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해외 언론사들은 이들보다는 조금 더 냉정하게 그리고 악명높은 한국 특유의 기업지배구조와 연결시켜 이번 사태를 해석했다는 데서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 등장하는 2개의 뉴스 지문은 모두 로이터에서 발췌한 것들입니다. 부족한 영어 실력이지만 정성껏 번역해봤습니다. 물론 원본 영문기사도 바로 아래 배치해놨구요. 그럼 한번 읽어보시죠!
현대차그룹의 강남 금싸라기땅 입찰금액 100억 달러가 투자자들을 경악시켰다.
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의 마지막 노른자 땅으로 불렸던 한국전력 부지를 사들이는 대가로 무려 100억 달러(한화 약 10조원)을 지불하게 됐다. 입찰 경쟁자였던 삼성전자를 물리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강남의 핵심요지에 너무 과다한 돈을 낭비한 게 아닌지 투자자들로부터 우려를 사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해당부지의 입찰금액으로 101억 4천만 달러(한화 약 10조 5500억원)을 써냈는데 이는 감정가의 3배를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다. 리서치 회사 CBRE에 따르면 이 금액은 작년 홍콩의 순흥카이 부동산 신탁회사가 상하이에 있는 상업용지 매입에 쓴 돈 36억달러를 가뿐히 뛰어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 거래된 토지 금액으로는 역대 최고액이라 한다.
현대차그룹의 입찰금액이 밝혀지자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더 많은 배당과 공장시설을 짓는데 쓰일 수 있는 돈을 토지구입에 사용했다는 점에 대해 크게 충격받은 모습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에 낙찰받은 부지 위에 자신들의 숙원사업인 신사옥 건립은 물론 자동차 테마파크와 호텔을 건설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입찰가격은 도저히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소식을 듣고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컨소시움을 구성해 입찰에 나섰던 현대차그룹 계열사 3곳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LS자산운용 김성수 펀드매니저의 말이다. 그는 삼성과의 경쟁을 고려하더라도 현대차그룹이 써낸 가격은 너무 높았다면서 이 일대를 개발하는데 추가적으로 60억 달러가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토지 매각사인 한국전력에 의해 입찰결과와 가격이 발표되자마자 현대차 주가는 3년래 최고 하락폭인 9% 급락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공동입찰에 나섰던 기아차는 7.8%, 역시 공동입찰에 나선 자동차 부품 메이커 현대모비스는 7.9%의 하락세를 보였다. 목요일 하루에만 이들 3사의 시가총액은 무려 80억 달러 가까이 증발하고 말았다.
그룹 계열사들의 현금보유량은 풍부한 편이지만 글로벌 자동차 업계 5위에 랭크된 현대-기아차는 최근 한국의 원화강세에 따른 해외수익 감소로 이윤 창출속도가 점점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주들에게 돌아갈 배당금 그리고 R&D에 사용됐어야 할 엄청난 금액이 유출된다는 사실에 많은 투자자들, 특히 외국인들이 대거 실망하고 있습니다." 하이투자증권에서 자동차 업종을 담당하는 고태봉 연구원의 촌평이다. 현대차그룹은 당장 2016년부터 가동 예정에 있는 멕시코, 중국공장 신축 프로젝트에 들어갈 자금을 수혈해야 하는 처지다.
현대차그룹 주가와는 반대로 한국전력의 고위인사가 "엄청난 격차"로 표현할 정도로 높은 가격에 소유부지를 매각하게 된 한국전력의 주가는 입찰결과 발표 이후 5.8%나 상승했다. 이 고위인사는 현대차그룹의 경쟁자였던 삼성전자의 입찰금액이 얼마였는지 밝히길 거부했으며 삼성전자 대변인 역시 이에 대한 코멘트를 거부했다.
충분한 현금
데이터 컨설팅 회사 CEO스코어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10개 계열사들은(금융 계열사 제외) 올해 1분기 기준으로 42조 8천억원의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는 재벌이라 불리는 거대 기업집단들에 의해 좌우되고 있으며 서울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들은 낮은 배당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싸게 거래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에서의 주주 행동주의는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다수의 펀드운용사들이 재벌을 대신해 자금을 운용하고 있거나 자신들 스스로가 이들(재벌)의 계열사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경제개혁연대의 채이배 연구원이 말했다. 참고로 현재 외국인들은 현대차 상장주식의 총 46%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는 이번 입찰과 관련해 투자자들을 충분히 납득시킬 수 있는 근거와 적절한 해명을 내놔야 합니다." 그는 덧붙였다.
재벌닷컴의 정선섭 대표이사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본사가 서울 도처에 뿔뿔이 흩어져 있어 그룹 위상 제고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전력 부지가 신사옥을 지을 유일한 대안이었기에 이번 입찰에 사활을 걸 수 밖에 없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76세의 노령인 정몽구 회장이 그의 아들인 정의선 부회장에게 '위대한 유산'을 남겨주길 원한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약 30개에 달하는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이 현재 임대료로만 2200억원을 지불하고 있다고 한다. 뒤집어 생각해보면 10조원을 은행에 예치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수익과 대략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이번 한국전력 부지 입찰에 현대차그룹이 왜 그렇게 높은 금액을 써냈는지 조금 이해가 된다는 것.
자동차 테마파크
몇몇 투자자들은 충격을 받았겠지만 현대차그룹의 이번 대규모 베팅은 한국기업들의 과다 현금보유에 대한 세금부과, 즉 현대차그룹의 과세 부담을 한층 덜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기준으로 봤을 때 현대차그룹에 속한 대부분의 계열사가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데 만약 한국정부가 재벌들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업이 거둔 총 수익의 60% 이상을 기업투자와 임금, 배당에 써야할 경우 이 회사는 현재보다 2,840억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고 CEO스코어가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에 낙찰받은 7만 9천 평방미터의 부지에 그룹 본사와 최고급 호텔, 컨벤션 센터와 테마파크 등을 아우르는 초대형 복합단지를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BMW나 폴크스바겐 같은 글로벌 경쟁업체들이 이미 오래 전부터 본사 주변에 다양한 볼거리를 만들어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천만대 생산능력과 글로벌 TOP 5 업체에 어울리는 이미지 제고를 위해선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건립이 반드시 필요했다. 이번 입찰은 그룹 전체의 제 2도약을 상징함은 물론 부지 자체가 지닌 가치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작업 끝에 나온 결과다." 현대차그룹 대변인의 말이다.
현대-기아차는 한국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독일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각 브랜드별 프리미엄 이미지 조성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대형 입찰경매에서 상상도 못할 가격을 써낸 게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1년에 있었던 현대건설 입찰경매에서도 이번과 같이 현대차그룹 3사가 컨소시움을 구성해 예상가보다 높은 금액을 써냈다. 당시 현대건설은 약 3조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지만 그룹 창업주인 고 정주영 회장이 1947년에 세운 현대왕국의 모태회사였기에 상징성이 더해져 실제 인수금액은 3조원 위에서 정해진 바 있다.
영문 원본기사 아래에 또 다른 내용이 있습니다! 스크롤해주세요.
SEOUL, Sept 18 (Reuters) - Hyundai Motor Group will pay a record $10 billion for the site of its new headquarters in Seoul's high-end Gangnam district, out-bidding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d sparking investor concerns that it is wasting cash on a trophy property.
The conglomerate smashed the previous record auction price for a single plot of land in South Korea with its 10.55 trillion won ($10.14 billion) bid, more than triple the appraisal value.
It would be the highest price by far for a single piece of land in Asia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CBRE Research, topping the $3.6 billion paid last year by Hong Kong's Sun Hung Kai Properties for a site in a commercial district in Shanghai.
Investors and analysts expressed alarm at the price that Hyundai was willing to pay for a site at a time when it could be pouring money into higher dividends or more factories
. At the site, it plans to build an auto theme park and a hotel as well as new offices.
"The bid price is nonsense. I was stunned," said Kim Sung-soo, a fund manager at LS Asset Management and an investor in all the three Hyundai companies in the bidding group.
"Even taking into account competition with Samsung, the bid price is excessive," Kim said, adding that he expected it to cost another $6 billion to develop the property.
Hyundai Motor Co shares fell 9 percent, their biggest drop in three years, after the bid was announced by the seller, state-run Korea Electric Power (KEPCO). Sister firm Kia Motors closed 7.8 percent lower and parts maker Hyundai Mobis Co, also in the bid group, declined 7.9 percent. Between them, the three lost nearly $8 billion in market value on Thursday.
Although Hyundai Motor Group has plenty of cash, Hyundai Motor Co and Kia, which together rank fifth by global auto sales, have been posting slowing profits as a strong local currency saps overseas earnings.
"This deal is going to take a huge chunk out of Hyundai's vault, and dipping their hands into a cash stash that could have otherwise been used for higher dividend payouts and R&D is going to aggravate many investors, especially foreigners," said Ko Tae-bong, auto analyst at HI Investment & Securities.
The companies also need to fund new factory
projects in Mexico and China, which are expected to go into production in 2016.
KEPCO shares gained 5.8 percent after Hyundai won the auction by what a KEPCO official called "a wide margin". The official did not disclose the size of Samsung's bid and a Samsung Electronics spokeswoman declined to comment.
CASH-RICH
Hyundai Motor Group's 10 listed companies, excluding financial firms, had 42.8 trillion won in cash and equivalents at the end of the first quarter, according to public filings compiled by data consulting firm CEO Score.
The South Korean economy is dominated by sprawling conglomerates, or chaebol, and Seoul-listed stocks have tended to trade at discounts to shares elsewhere partly due to low dividends and investor worries about corporate governance.
Shareholder activism in South Korea tends to be muted, as many fund houses manage money on behalf of chaebol or are themselves part of big corporate groups, said Chae Yi-bai, an analyst at Solidarity for Economic Reform, an activist group.
Foreign investors own 46 percent of Hyundai shares.
"Hyundai Motor needs to proactively reach out to shareholders to convince them on the rationale of the deal and provide adequate explanation," he said.
Chung Sun-sup, CEO of research firm Chaebul.com, said Hyundai was keen to secure the land because its current headquarters on the outskirts of Seoul is not befitting of its stature, and the KEPCO land is the only prime plot available. He said 76-year-old Chairman Chung Mong-koo may want to leave "something big" when he passes control to his son, Chung Eui-sun.
He also figures that about 30 Hyundai Motor affiliates pay a combined 220 billion won in office rent. "If you flip that around, that's roughly equal to the amount of interest you'd get on 10 trillion won in bank deposits. So in some sense that is a rationale for such a high bid for the Kepco land."
CAR THEME PARK
While some investors were shocked, Hyundai's big bid for a landmark in the heart of Seoul's trendiest district may help ease its tax burden under proposed rules that would tax excess corporate cash.
Based on last year's earnings, companies that belong to the Hyundai Motor Group would have the largest exposure to the law, facing 284 billion won in further taxes if the government required conglomerates to spend at least 60 percent of net profit on investment, wages and dividends, CEO Score has said.
Hyundai Motor Group has said it plans to build a vast complex on the 79,342 square metre site that will house its headquarters as well as a hotel, convention centre and a theme park. It noted that rivals such as BMW and Volkswagen have tourist attractions around their headquarters.
"In order to achieve production capacity of 10 million cars and bolster brand value that befits a global top-five company, we need a global business centre. The bid is the result of comprehensively reviewing its value as a symbol of the group's second growth phase," a Hyundai Motor Group spokesman said.
Hyundai and Kia have been keen to build a premium image around their brands to better compete with the likes of German rivals that are taking a rising share of the domestic market.
This was not the first time cash-rich Hyundai Motor Group drove up the price in a big auction.
A consortium of the same three Hyundai Motor Group companies bid around 5 trillion won in 2011 to buy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which had been expected to fetch around 3 trillion won but had symbolic value as the original company of the Hyundai empire, founded in 1947 by Chung Ju-yung.
By Joyce Lee and Hyunjoo Jin
원본링크
http://www.reuters.com/article/2014/09/18/kepco-realestate-hyundai-motor-idUSL3N0RJ17C20140918
현대차그룹 이사회는 한국전력 부지 입찰금액 10조원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서울 강남의 한국전력 부지입찰에 성공한 현대차 및 계열사 2곳(기아차, 현대모비스)이 감정가격의 3배를 뛰어넘는 입찰가격(100억 달러)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얻지 않았다고 해당회사의 이사 4명이 밝혔다.
최종 낙찰자가 현대차그룹으로 발표된 지난주 목요일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의 주가는 폭락했고 무려 80억 달러에 달하는 주주가치가 사라지고 말았다. 이는 투자자들의 반감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한국의 기업집단, 즉 재벌에서 쉽게 목격되는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불안감을 다시 증폭시켰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3사의 이사회가 한국전력 부지에 입찰해 본사 및 호텔, 자동차 테마파크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입찰 자체를 승인한 건 맞지만 구체적인 입찰 금액은 극비였던 관계로 이사들 사이에서도 제대로 공유가 안됐다고 당시 이사회 참석 멤버 중 3명이 본지에 밝혔다. 덧붙여 현대차와 기아차 이사회 전원은 만장일치로 이번 한국전력 부지 인수에 동의했다고 해당 이사회 멤버 2명이 밝혔다.
"입찰 가격 자체가 극비였기에 이사회에서 논의될 만한 사안이 전혀 아니었다" 신분을 밝히길 꺼린 이사회 멤버 한 사람이 밝힌 내용이다. "해당 토지에는 감정가 이상의 무형적 가치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이사는 자신이 속한 이사회가 한국전력 부지의 감정가와 인근에 위치한 여러 빌딩들의 가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으며 심도있게 논의됐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한국전력 부지를 바꿔 놓을 청사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해당토지가 충분히 값어치 한다고 생각합니다."
76살의 정몽구 회장이 이끄는 현대차그룹은 이번 입찰에 참여한 각 회사의 이사회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밝히길 거부하고 있으며 100억 달러에 달하는 입찰금액을 3사가 어떻게 분담할지 역시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번 입찰과정에서 한가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빠졌습니다." 4,820억 달러의 연기금 자산을 운용하며 동시에 이번 입찰에 참여한 3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네덜란드 소재 APG 자산운용사의 박유경 홍콩법인 이사의 말이다. 목요일날 입찰결과가 발표된 이후 현대차그룹으로부터 주주가치나 회사가치에 관한 그 어떠한 발표도 없었다는 것.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정적이에요. 우리는 지금 매우 분노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말이다.
이번 경쟁입찰에서 현대차그룹은 매각사인 한국전력의 고위관리 말을 빌리자면 "아주 큰 격차로" 다른 경쟁자, 인 삼성전자를 따돌렸다. 삼성전자측은 얼마를 써냈는지 얘기하지 않고 있지만 미디어 소식통에 따르면 40억~50억 달러 범위 내였다고 전해진다.
일단 지르고본다.
현대차그룹은 세계 5위의 자동차 메이커로써 이미 오래 전부터 서울 강남 남쪽에 위치한 금싸라기 땅 8만 제곱미터를 매입해 개발하겠다고 공언해왔다. 심지어 입찰이 시작되기 전부터 해당부지에 랜드마크 건축물을 세운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현대차그룹이 써낼 입찰가격이 감정가보다 더 높으리란 관측이 우세해졌다. 하지만 실제 뚜껑을 열어보니 예상을 빗나가도 한참 빗나가고 말았다. 노무라 증권은 현대차의 이번 투자에 따른 총 비용(토지 매입대금, 세금, 건축비)이 190억 달러(20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수십년전 한국의 산업부흥기를 이끌었던 회사가 바로 자신들의 모체였다는 사실을 부각시킨 현대차그룹은 부지입찰 및 마스터플랜 발표과정에서도 누누이 민족적 자긍심을 강조해왔다.
"한국전력 부지 위에 지어질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국가 브랜드 가치도 제고할 것이며 이는 한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들을 매료시켜 국가경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현대차그룹이 목요일날 발표한 성명이다.
불확실성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옹호하는 단체, 경제개혁연대의 김상조 소장은 이번 입찰에 앞서 현대차그룹 이사회 내부에서 과연 적절한 논의가 이뤄졌는지 의문이라면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회사측에 이사회 회의록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이 주주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무모하고 비상식적인 결정이 내려진 것입니다." 그의 말이다.
한국은 1997년 IMF 금융위기 직후 기업 이사회의 역할을 증대시키기 위해 외부이사 도입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개혁에 착수했다. 그러나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대기업에 자리잡고 있는 기업지배구조(총수일가)에 대한 리스크가 한국 주식시장의 가치를 짓누르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현대차그룹은 풍부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다수 투자자들은 고효율 경제와 친환경 자동차로 요약되는 글로벌 자동차업체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생산시설 확충과 R&D투자의 증대,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배당금을 회사측에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입찰발표 하루 뒤인 금요일 현대차그룹의 대변인은 로이터에 이메일을 보내 "저희 회사는 항상 투자자들과 만남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입찰건에 대해 투자자들이 가지고 있을 궁금증에 대해 충분히 답해드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통합사옥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라고 밝혔다.
(Reuters) - Hyundai Motor (005380.KS) and two listed affiliates did not seek board clearance for the size of their record $10 billion bid for a plot of land in Seoul, more than triple its appraised value, four board members of the companies told Reuters.
Thursday's winning bid for the land sent shares in Hyundai Motor, Kia Motors (000270.KS) and Hyundai Mobis (012330.KS) plunging, wiping out $8 billion in shareholder value, and sparked howls of protest from investors, rekindling worries about corporate governance at South Korea's conglomerates, or chaebol.
While boards of the three firms discussed and approved bidding for the plot in the capital's high-end Gangnam district to house a headquarters complex, hotel and automotive theme park, the bid price was not shared with directors as it was deemed to be confidential, three of the directors said.
The Hyundai Motor and Kia Motors boards unanimously approved making a bid for the KEPCO land, two directors said.
"The price was top secret, so it was not something we discussed at the meeting," said one, declining to be identified given the sensitivity of the matter. "The intangible benefits go beyond the appraisal price of the land."
Another director at one of the companies said its board heard and discussed information about the appraisal price of the KEPCO land and the value of nearby buildings
. "Hyundai has many grand ideas around the KEPCO land," he said. "I think it's worth it."
Hyundai Motor Group, headed by 76-year-old Chung Mong-koo, declined to comment on board level decision-making behind its bid, and also said it had not yet decided how the purchase price would be divided among the three companies.
"The one very core element was missing, then, during the process," said Park Yoo-kyung, a Hong Kong-based director specializing in corporate governance at Netherlands-based APG Asset Management, which manages $482 billion in pension assets and holds shares in the three Hyundai firms in the bid group.
Noting that Hyundai's statement after the bid was announced on Thursday did not mention shareholder benefits or value-creation, Park said: "That's an amazing thing. It's unbelievably negative. We are very angry."
In sealed bidding, Hyundai Motor Group won the auction by a "a wide margin", said an official with the seller, state-run Korea Electric Power (KEPCO) (015760.KS). The other bidder, Samsung Electronics (005930.KS), has not said how much it bid, but media reports put it in the $4-$5 billion range.
URGE TO SPLURGE
Hyundai Motor Group, the world's fifth-largest automaker, had long made clear it coveted the 79,342 square meter site, the last big piece of land available for development in the capital's prestigious southern Gangnam district.
Even before its bid, it had spoken of plans to build a landmark complex on the plot, so it had been widely expected to offer a hefty price, but its actual bid far surpassed expectations. Nomura estimated the total investment associated with land, tax, and building could reach 20 trillion won ($19.17 billion).
Hyundai, whose corporate forebears were instrumental in South Korea's breakneck industrialization decades ago, invoked national pride in its plans for the site.
"This (global business center) will raise the brand value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he country,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national economy by actively attracting foreigners and tourists," it said on Thursday.
UNCONVINCED
Kim Sang-jo, executive director of Solidarity for Economic Reform, an advocacy organization for better corporate governance, said his group would ask the companies for minutes of their board meetings to t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dequate discussion.
"Hyundai made a nonsensical, reckless decision because they did not take into account shareholders," Kim said.
South Korea implemented reforms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98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boards, including introducing outside directors. However, worries about corporate governance in the big family-controlled groups that dominate corporate Korea continue to weigh on market valuations.
Hyundai Motor group has plenty of cash, but many investors were hoping instead for bigger dividend payouts, as well as investment in production capacit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 competitive market chasing better fuel economy and "greener" models.
A Hyundai Motor spokesman said in an email to Reuters on Friday: "There are always meetings with investors, and we are ready to fully answer questions from investors regarding this matter. We would like to say that there has been a ne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company building for a long time."
SEOUL
원본링크
http://www.reuters.com/article/2014/09/20/us-hyundai-motor-gangnam-exclusive-idUSKBN0HF04C20140920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