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스마트펀드투자] 생애설계와 자산관리는 20~30대부터![1]
추천 0 | 조회 2461 | 번호 2680 | 2014.08.29 17:02 펀드슈퍼마켓 (simamoto1***)

[스마트마펀드투자]

100세시대 생애설계와 자산관리,
20~30대부터 시작하라

 

‘100세시대의 노후설계와 자산관리’에 대한 강의를 하다 보면 참석자 중에 20~30대의 젊은 직장인들을 자주 보게 된다. 몇 년 전까지 만해도 볼 수 없었던 일이다. 당시에는 퇴직을 앞두고 있거나 이미 퇴직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노후대비는 50대 이후에나 생각할 문제이지 젊은 세대와는 관계없는 얘기라고 생각하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최근 들어 그런 분위기가 급격히 바뀌고 있다. ‘50~60대에 시작해서는 너무 늦다’, ‘20~30대부터 직장생활 출발과 동시에 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노후대비 자산관리는 노후자금 몇 억원을 마련하는 식의 단순한 재테크가 아니다. 인생후반을 좌우하는 5가지 리스크, 즉, 장수 리스크, 건강 리스크, 자녀 리스크, 자산구조 리스크, 저금리 리스크에 종합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따라서 단기간으로는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생각들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선진국의 직장인들에게는 사회출발과 동시에 노후대비를 염두에 둔 자산관리를 시작해야 한다는 인식이 일찍부터 정착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금융/투자교육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나라에서는 주식이나 펀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왜 투자를 하는가’라는 질문을 하면 대부분이 ‘돈을 벌어보려고’라고 대답한다. 무목적 충동투자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선진국에서 어느 정도 금융·투자교육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을 하면 ‘노후에 대비해서’라는 대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고령세대 뿐 아니라 젊은 세대들도 마찬가지다. 20~30대부터 노후에 대비하는 투자를 시작한다. 따라서 30~40년의 계획이 있고 장기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런 현상이 우리나라 직장인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다.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다면, 20~30대의 직장인이 사회 출발과 동시에 노후대비 자산관리를 시작할 경우, 구체적으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3층 연금(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지금과 같은 인생 100세 시대에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의 최저생활비 정도를 3층 연금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연금은 일단 가입만 하면 자동불입이 되기 때문에 가입 후에는 특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은 자신의 몸값을 높이는 인적자본 투자이다. 직장인에게 가장 유력한 수입원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인생에서 가장 큰 투자엔진은 자신의 본업으로부터 얻는 수입이다. 다시 말하면, 직장인이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은 그만큼의 수입을 발생시키는 금융자산과 같다. 따라서 자산관리에서 얻는 수입(income)을 가장 크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가 맡은 일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데 문제는 IMF금융위기 이후 직장인의 근무환경이 급격하게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40대 중반이면 언제 회사를 떠나야 할지 모르는 불안한 환경이 되어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가을에 경희대학교 신동균교수가 연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남자가 직장에서 45세까지 근무할 확률은 1950년 이전 출생자의 경우에는 70~80%였는데, 58년생은 40%로, 60년생은 20%대로 낮아졌다. 문자 그대로 샐러리맨 수난의 시대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직업에서 얻는 소득을 높이려는 노력은 게을리 하면서 주식투자 같은 것에 열중하는 방식으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자신의 능력을 키워서 보다 많은 연봉을 받고, 보다 긴 기간 동안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적자본 투자를 최우선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후에 여력이 있을 경우 전문가가 대신 운용해 주는 펀드투자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매월 몇 십 만원씩이라도 적립식으로 펀드에 투자하여 목돈을 만들어가는 방법이다.

 

강창희 미래와금융 연구포럼 대표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