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칼럼) 촌놈이 살아남는 방식
-*.촌놈: 고향을 등지고 직장생활을 하는 남자와 여자-
“ 철산동 행운의 네잎클로버 “ ~ 행운 ~ ”
“ 행운 ” 이라는 네잎클로버를 항상 가슴에 묻고,
모든 분들의 가슴속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이 세상에 태어나면 부모의 보호를 받습니다.
자의든 타의든 때가 되면 부모의 둥지를 떠나는 것이 인생살이 입니다.
학교를 위해서
직장을 위해서
무엇인가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촌놈들은 자신의 고향을 떠나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는 서울 및 수도권 등으로 가방 하나 딸랑 들고 상경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맨 처음 고향을 떠나면 그리움에 사무쳐 부모님 얼굴을 보러 고향을 자주 내려가게 됩니다.
한번 내려가면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1~2년이 지나면 내려가는 것도 귀찮을 정도로 띄엄띄엄 내려가게 됩니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명절 때만 내려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됩니다.
학교를 위해서라면,
꼬박꼬박 부모님한테 비용을 받아서 생활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생활을 할 수가 있겠으나,
직장을 위해서라면,
치열한 생존경쟁이 벌어지는 전쟁터 속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으며,
손을 벌리는 입장이 아니라 용돈을 드려야 하는 입장으로 바뀌기 때문에 모든 것을 혼자의 힘으로 해결하고 살아가야 합니다.
또한,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야 하며, 피곤에 지친 몸둥아리가 누울 수 있는 주거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집안이 풍요롭다면 얼마든지 좋은 집과 좋은 동네에서 집을 얻을 수가 있지만,
거의 대다수의 사람들은 혼자 힘으로 먹고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풍요보다는 빈곤속에서 첫출발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도 전세보다는 월세로 시작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게 됩니다.
풍족하지 못하여 월세로 시작을 하더라도,
우리는 이때 한가지는 반드시 실행을 해야 하고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저금”이라는 것입니다.
“그것도 월급날 바로 첫번째로 통장에서 빠지도록 자동이체를 해두어야 합니다.”
“최소 월급의 50%~70%이상은 눈물을 머금고 저금을 해야 합니다.”
“이것은 촌놈이 객지에서 살아남는 방법중의 가장 기초적인 것입니다.”
월급의 50%~70%이상을 저금하기 위해서는?
주거비를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좋은 집만을 선호하지 말고 주거환경이 좋지 않더라도 월세가 싼 집을 얻어야만 월급에서 누수가 생기지 않고, 고스란히 저금을 최대한 많이 할 수가 있습니다.
주거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각오만 서면, 몸둥아리 누울 자리가 어딘들 어떠하겠습니까?
이러한 생활을 1~2년만 하면,
몇천만원이라는 자금이 통장에 고스란히 쌓이게 되고, 전세금을 모을 수가 있으며,
전세금이 모이면,
바로 월세살이를 청산하고 관리비 등이 저렴한 곳으로 전셋집을 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최소 3년~5년만 착실하게 실행만 옮기면 종잣돈이 쌓이게 되는 시기가 되며,
또한, 자신의 반려자를 만날 시기이기도 됩니다.
가진 것은 없어도 정직하고 성실하게 자신의 앞날을 위해서 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한테 어느 누가 돌을 던질 수가 있겠습니까?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은 똑같습니다.
첫단추가 잘못 꿰어지면 그 단추를 풀어서 다시 첫단추를 끼워야 합니다.
그러나, 그 시간은 몇 배의 시간이 들어가고 거의 자포자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빈곤 속에서도 풍요함을 꿈꾸며 살아가야 합니다.
풍요함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정을 이루지 않고 혼자일 때가 가장 쉽게 이룰 수가 있습니다.
빈곤 속에 풍요함을 이룬 이러한 분들이 훗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가정을 이룬다면,
잘 살까요?
못 살까요?
정답은 뻔한 것입니다.
고향을 등지고 험난한 사회생활을 시작하시는 분들은 “촌놈이 살아남는 방식”을 실천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철산동 행운의 네잎클로버~~~행운~~~ 감사합니다. ~~
*.Naver부동산 전문답변인 및 행운칼럼
*.Daum금융 재무상담위원
*.Daum부동산 부동산고수 및 행운칼럼
*.부동산뱅크 행운칼럼
*.부동산,창업,세상살이이야기 등 행운칼럼 연재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