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검색

검색어 입력폼

금융 메인메뉴

커뮤니티

커뮤니티 하위메뉴

게시판 운영정책

전문가칼럼

[투자자리포트(제5호)] 가장 많이 추천된 펀드는?
추천 0 | 조회 2420 | 번호 2559 | 2014.01.06 14:38 투자자보호재단 (inv***)

투자자리포트(제5호)

03. 펀드판매회사가 가장 많이 추천한 펀드는?

 

 

 공격적인 투자자, 어떤 펀드를 가장 많이 추천 받았을까? 

 


공격적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추천 받은 펀드는 “신영밸류고배당증권투자신탁”이었다. 뒤를 이어 “한국밸류10년투자증권투자신탁1”, “KB밸류포커스증권자투자신탁”이 2위와 3위로 조사되었다.

 

‘공격적인 투자자’ 대상 추천 펀드를 조사한 이유는 현재 일반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모펀드 중 주식형 펀드의 투자자금 비율이 72.6%(금융투자협회, ‘13.12)로 가장 높기 때문이다. 주식형펀드는 9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원금손실 위험이 높은 상품으로 주로 공격적인 투자자들에게 추천된다. 실제 조사 결과, 모니터링 대상인 920여 개 지점에서 공격적인 투자자에게 추천한 펀드 총 93개 모두 주식형 펀드였고, 그 중 일반주식형이 50.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배당주식형*과 KOSPI인덱스형**이 그 뒤를 이었다.

 

공격적인 투자자란 <그림6>에서 보듯 높은 수익을 추구하여 원금손실 위험을 감수하는 투자자이다.

 

 

각 펀드판매회사는 투자자의 여러 특성과 선호를 고려하여 투자자 유형을 다양하게 구분하고 있는데, 3단계로 구분하는 회사도 있고 좀 더 세분화하여 7단계로 구분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대개 <그림6>처럼 5단계로 구분한다. 각 유형별 명칭은 회사마다 상이하므로 상대적인 위치가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투자자의 유형은 투자자가 생각하는 주관적인 ‘위험 성향’과는 약간 다를 수 있다.

 

 

<그림7>는 한국투자자보호재단에서 펀드투자자를 대상으로 자신의 위험성향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사한 내용인데 안정추구형이 43.6%로 가장 많다. 그러나 실제 본인을 ‘안전추구형’이라고 생각하더라도 펀드 가입 상담 후, 적극적인 투자자나 공격적인 투자자라고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펀드판매회사가 투자자 유형을 구분할 때 주관적인 위험성향 외에 투자목적, 재산, 소득, 투자자금의 규모, 투자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추천 펀드들의 특성은? : 운용기간이 대체로 길고 규모가 컸으며, 대체적으로 상위권 성과 기록!

 

각 판매회사에서 추천한 펀드의 특성은 첫째, 운용기간이 길어 시장에서 충분히 검증받은 펀드라는 점이었다. 평균 운용기간은 7.21년이었으며 총 93개 중 한 두 개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모두 5년 이상인 펀드가 추천되었다.

 

평균 운용규모는 5,485억원이었는데, 현재 전체 공모펀드의 평균 운용규모가 304억원, 주식형펀드의 평균 운용규모가 465억원임을 감안 할 때 운용규모가 큰 펀드를 주로 추천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운용규모가 크면 분산투자 등 운용전략상 유리하고 각종 거래나 관리 비용 및
리서치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며 자산운용사의 관심을 더욱 받으며 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익률의 경우, 최근 1년(’13년 11월 기준) 평균수익률은 14.16%, 2년 수익률은 27.2%였는데 동일유형과 비교한 백분율을 살펴보면 1년 수익률은 상위 20% 수준이고 2년 수익률은 상위 13% 수준이었다. 최고로 높은 수준이 아니었다. 그러나 각 펀드의 장기간 수익률을 살펴보니 안정적으로 꾸준히 높은 수익률을 올린 펀드임을 알 수있었다. 특정 기간 동안의 높은 수익률 보다는 지속적으로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비용의 경우, 평균 판매보수가 약 1.425%였는데,현재 일반주식형 펀드의 총보수 수준이 1.414%이므로 약간 높은 수준이다.

 

 

실제 상담 과정에서 운용규모가 너무 작거나 운용기간이 짧은 펀드, 수익률의 등락 폭이 큰 펀드 등을 추천 받게 된다면 투자자들은 ‘왜 해당 펀드를 추천했는지’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설명을 들을 필요가 있다.

 

 

* 배당주식형 : 배당률이 높은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 KOSPI200인덱스형 : KOSPI200이란 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도록 운용하는 펀드
*** 운용규모가 너무 크면 운용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투자대상 자산의 제한으로 수익률이 낮아진다는 견해도 있음

0
0
신고


푸터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