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설계와 투자 – 당신만의 투자 철학을 가지고 계십니까?
선생님은 돈을 왜 법니까? 그리고 왜 돈을 모으려 하십니까?
이 질문은 상담 시 꼭 하는 질문 중에 하나 이다.
돌아 오는 답변은 90% 이상이 비슷하다
“나중에 잘 살기 위해서죠”
맞는 이야기이다. 우리가 평생 돈을 벌 수 있다면 사실 재테크, 투자, 저축, 부동산 등등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하지만 우리는 평생 돈을 벌 수 없기에 주어진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것을 가지려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잘 살기 위함이란 기준은 누가 주는가?
친구가? 이웃이? 친척이? 나도 모르는 3자가?
그 기준은 바로 나 자신이 되어야 한다. 내가 살아가는 방식과 철학이 있어야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가족의 행복의 조건, 잘 살기 위한 조건을 남에게서 타인에게서 찾으려 하다 보니
주어진 시간 안에 최대한 남보다 많은 것을 가지려는 성향이 나도 모르게 나오게 된다.
결국 돈에 쫓기는 삶밖에 되지 않는다.
청춘과 일생을 바친 결과가 항상 돈에 쫓기는 삶이라면 얼마나 우울 할까?
투자도 마찬가지다
펀드를 활용해 간접 투자를 하던, 주식을 이용해 직접투자를 하던
나의 기준과 철학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다.
누가 무엇으로 대박이 나던 쪽박을 차던 흔들림 없는 기준과 철학 말이다.
왜냐하면 투자는 지식보다 심리전의 성향이 더욱 강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처음 투자를 시작 할 때에는
옆 사람, 직장 동료, 친구, 친척, 금융기관의 권유 등으로 시작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왜 그렇게 시작을 하십니까? 하는 질문에는 십중팔구
“저는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라는 답이 돌아 온다.
이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다기 보다는 나의 투자에 대한 기준과 철학이 없다는 이야기 이다.
국내 최고의 투수 류현진이나 다른 투수 들이나 공을 던지는 지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차이는 자신의 공을 던지는 기준, 공을 던지는데 있어서 제구를 중시하는지 구속을 중시하는지
다양한 기술을 중시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있고 그 기준은 어떠한 외부적 충격에도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좋은 투수라고 이야기 하는 것 아닐까?
카카오가 제공하는 증권정보는 단순히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카카오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c)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카카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